국어
윤리학(2)
KIKI_BI0
2022. 6. 22. 09:48
SMALL
- 더불어 사는 삶
(1) 동서양의 이상적 인간상
→ 바람직한 인간상_ 유학의 군자, 불교의 보살, 도가의 지인/천인/선인, 서양의 이성주의 인간, 그리스도교적 인간
→이상사회_ 유가의 대동사회, 노자의 소국과민사회, 플라톤의 이상국가, 루소의 민주사회, 마르크스의 공산사회, 바쿠닌의 무정부사회
(2) 인간과 자연의 조화
→ 서구적 자연관_ 인간중심주의, 정복의 문화(이분법, 기계론, 환원주의)
→ 동양적 자연관_ 생태 평등주의, 공생의 문화(경쟁, 투쟁이 아닌 협력)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삶 실현 방안_ 인간중심주의에서 만물평등주의로, 이분법적 사유에서 전일적 공생주의로, 기계론적 사유에서 생태학적 사유, 유기체적 사고로의 전환
(3) 주체 중심 윤리의 한계 비판
→ 의무론적 윤리설_ 칸트의 보편주의_ '나'라는 이성주체를 절대화(동기주의)
→ 목적론적 윤리설_ 벤담/밀의 공리주의_ 목적에 의한 행위의 정당화(결과주의)
→ 타자에 대한 지배와 배제의 논리 확산_ 오리엔탈리즘과 자민족 중심주의('우리'로부터 배제된 '너희'), 남성들에 의한 여성의 타자화, 인간으로부터 타자화 된 자연
(4) 새로운 윤리관의 정립
→ 타자의 윤리_ 레비나스의 타자 중시 윤리관, 비대칭의 윤리
→ 관계의 윤리_ '나, 타자, 자연'이 하나 되는 동양적 윤리관
→ 이성적 주체에서 타자를 배려하는 윤리적 주체의 재탄생
→ 종교와 과학에 대한 네 가지 관점_ 갈등, 독립, 대화, 통합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