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1
플룸구조론
KIKI_BI0
2022. 3. 23. 11:40
SMALL
플룸구조론?
판 내부의 화산활동을 설명하기 위해 등장한 이론을 말한다.(판 구조론은 판의 내부 활동까지 설명할 수 없기 때문)
플룸이란?
맨틀 전체에서 하강하거나 상승하는 원기둥 모양의 물질과 에너지의 흐름이다.
플룸은 지진파의 속도에 따라, 차가운 플룸과 뜨거운 플룸으로 나뉜다.
→ 차가운 플룸
- 주위보다 온도가 낮기때문에 지진파 속도가 빠르고, 밀도가 큰 물질이 아래로 하강하는 플룸이다.
- 수렴형 경계에서 섭입된 판의 물질이 상부맨틀과 하부맨틀의 경계 부근에 쌓여있다가, 가라앉아서 형성된다.
→ 뜨거운 플룸
- 주위보다 온도가 높기때문에 지진파 속도가 느리고, 밀도가 작은 물질이 위로 상승하는 플룸이다.
- 차가운 플룸이 맨틀과 외핵의 경계에 도달하게 되면서, 그 영향으로 일부 맨틀 물질이 상승하면서 형성된다.
→ 열점
- 뜨거운 플룸으로 인해 마그마가 분출되는 시작점을 말한다.
- 판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판이 이동하더라도 열점의 위치는 변화하지않고 고정된다.
- 열점에서 멀어질수록 판의 나이가 증가한다.
- ex) 하와이 열점
판 구조론과 플룸구조론의 차이는 무엇일까?
판 구조론 | 플룸 구조론 | |
이론 | 판이 섭입되기 전까지 판의 운동을 설명 | 판이 섭입된 후 지구의 내부 운동을 설명 |
활동영역 | 맨틀 상부 연약권의 대류 | 맨틀 전체 플룸의 대류 |
설명범위 | 판 경계의 지각변동 | 판 내부의 화산활동 |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