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희곡과 시나리오(시나리오의 특징)

KIKI_BI0 2022. 4. 4. 14:07
SMALL

시나리오란?

영화촬영을 목적으로 한 각본으로, 영화 장면의 순서, 배우의 대사와 동작 등을 표현한다.

시퀀스(sequence), 장면(scene)을 단위로 한다.

→ 화면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촬영을 어떻게 할지 고려해야 하고, 시각적 장치뿐만 아니라 청각적 음향 효과를 적절히 활용할 수도 있다.

 

+) 시퀀스와 장면의 개념

시퀀스(sequence)는 하나의 이야기가 시작되고 끝나는 독립적인 구성 단위를 말하고, 장면(scene)은 같은 장소에서 같은 시간에 벌어지는 사건을 나눈 단위를 말한다.

 

+) 음향 효과의 기능

→ 장면의 분위기를 형성한다.

→ 사건의 흐름에 집중하게 한다.

→ 현장감 및 생동감을 불어넣는다.

 

· 시나리오 용어

(1) S# (Scene Number) : 장면 번호

(2) NAR (Narration) : 해설, 등장인물이 아닌 사람의 목소리로 설명하는 대사

(3) F.I (Fade In) : 화면이 차차 밝아짐

(4) F.O (Fade Out) : 화면이 차차 어두워짐

(5) O.L (Over Lap) : 앞 화면에 뒤 화면이 포개지는 기법으로, 주로 과거 회상 장면에 활용

(6) C.U (Close Up): 특정 대상이나 인물을 두드러지게 확대하는 것

(7) PAN (Panning) :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것

(8) M (Music) : 효과 음악

(9) Bust : 인물 상반신의 화면

(10) Ins (Insert) : 일련의 장면에 화면이나 음향을 끼워넣는 것

(11) E (Effect) : 효과음, 화면 밖의 음향이나 대사에 의한 효과

(12) 앙각(Low-angle) : 카메라를 인물보다 아래쪽에 설치하여 올려 찍는 기법으로, 주로 인물의 권위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때 활용

 

+) 시나리오와 연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배우의 연기, 무대 장치, 카메라의 위치 및 각도, 의상, 분장, 소품, 조명, 음악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지도하여 작품을 완성하는 것을 '연출'이라고 한다.

→ 의상

등장인물의 외면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내면을 함축적으로 드러낸다.

의상의 색, 스타일, 차림새를 통해 등장인물의 '캐릭터'를 완성한다.

 

→ 분장

등장인물의 성격, 나이, 특징에 맞게 배우를 꾸미는 것을 말하며, 의상과 더불어 등장인물의 '캐릭터'를 완성하는 역할을 한다.

 

→ 소품

무대 장치의 일부로 이미 무대에 있는 도구가 아니라, 배우가 사용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소지한 소도구를 말한다.

때로는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기도 하고, 복선이나 암시를 위한 장치로 활용되기도 한다.

 

·  희곡과 시나리오의 비교

  희곡 시나리오
공통점 등장인물의 대사와 행동으로 사건이 전개됨
차이점 창작 목적 공연(연극)을 목적으로 함 영화 상영을 목적으로 함
등장인물의 제약 등장인물 수에 제약이 있음 등장인물 수에 제약이 없음
차이점 시 · 공간의 제약이 있음  · 공간의 제약이 없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