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컴퓨터와 정보사회 8

정보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는 개인 또는 집단이 하나의 노트가 되어 각 노트들 간의 상호의존적인 관계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회적 관계 구조를 말한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은 관계 맺기, 프로필, 커뮤니케이션, 컨텐츠 생산, 네트워크 활용 등이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특성은 크게 세 가지로 신속성, 개인성, 개방성이 있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종류로는 크게 개방형과 폐쇄형 서비스가 존재한다. 개방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는 트위터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이 있으며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는 스냅쳇, 네이버 밴드, 카카오 그룹, 데이비 등이 존재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LBS)는 스마트 기기 혹은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변경되는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

정보검색

검색엔진 :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수많은 양의 문서들을 자동으로 수집하고 분석한 후 이를 분류하여 상ㅇ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고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원하는 정보를 찾아 달라고 요청한다. 사용자의 요청은 검색 처리기에 의하여 특정 검색모델의 언어로 표현된 검색어로 변환된다. 이때 검색 처리기가 인덱스 저장소로 접근하여 검색어와 연관성이 높은 웹 문서를 빠르게 찾아낸다. 수집기는 인터넷상에서 생성되는 수많은 웹 문서들을 자동으로 탐색하여 검색엔진이 보유한 문서 집합을 문서 저장소에 최신 상태로 유지한다. 색인기는 문서 저장소로부터 웹 문서들을 분석하고 색인에 필요한 색인어를 추출한다. 그 다음 이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구조화하여 인덱스를 구축한다. 검색모..

네트워크

네트워크란? 'net'와 'work'의 합성어로 '그물처럼 서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컴퓨터 네트워크란, 컴퓨터를 구성하는 여러 장치를 그물처럼 연결하여 서로 정보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 놓은 시스템을 뜻하며,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면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컴퓨터와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다양한 정류의 장비가 사용되는데, 각 장비들은 데이터 통신을 위해 고유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통신을 위한 규약인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하드웨어는 단말장치 및 호스트 컴퓨터, 전송매체, 신호변환장치, 네트워크 접속장치 등이있다. 프로토콜(protocol)은 여러 기기들이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제정한 통신규약을 뜻한다..

운영체제

컴퓨터의 다양한 하드웨어가 서로 유기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이들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컴퓨터와 사용자 사이에 중계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한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을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라고 한다. [1] 운영체제의 역할 OS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 간에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CPU, 메모리, 기억장치, 입력장치와 같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는 소프트웨어이다. 하드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 사이에서 중계자 역할을 하면서,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OS는 사용자와 응용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사이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받아들이고, 이를 하드웨어..

컴퓨터의 구조

하드웨어(hardware) : 일반적인 전자 기기와 같이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수많은 전자 부품으로, 컴퓨터 하드웨어는 컴퓨터 내부를 구성하고 있는 전자 부품뿐만 아니라, 컴퓨터 외부에서 컴퓨터가 동작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주변장치까지 포함된다. 컴퓨터는 하드웨어를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각종 자료를 입력받아 정해진 순서와 방법으로 자료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물을 산출하는 전자 기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기기는 단순히 물리적인 부품들로만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 기기를 구성하고 있는 전자 부품들이 어떻게 작동해야 하는지를 지시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함께 있어야 한다. - 컴퓨터의 구성요소 컴퓨터는 물리적 기계 장치인 하드..

컴퓨터와 프로그램

프로그램이란? 컴퓨터가 어떠한 작업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처리방법 및 순서를 컴퓨터 언어 형태로 기술해 놓은 것을 뜻한다. -> 논리적, 산술적 연산만이 가능한 컴퓨터 하드웨어는 프로그램에서 지시한 일련의 명령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복잡한 작업을 처리하게 됨 -> 비상상황에서 사용되는 '대응절차'와 유사함 -> 컴퓨터는 특정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기술된 명령어를 차례대로 이행하게 된다. 컴퓨터의 프로그램은 누구에 의해, 어떤 과정을 거쳐 제작되는가? - 프로그램은 컴퓨터 전문가인 프로그래머에 의해 제작된다. +) 프로그래머? 컴퓨터 전문지식을 바타응로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직업 단순히 데이터 결과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처리과정의 효율성을..

컴퓨터의 이해

- 컴퓨터 입력된 데이터를 정해진 방법에 따라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계 → 정확하고 신속한 데이터 처리 가능 → 먼 거리에 떨어져 있는 상대와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 공유 가능 (1) 컴퓨터 발전의 역사 → 초기의 컴퓨터 크기는 굉장히 크고, 계산 속도는 현재에 비해 월등히 느렸으며, 운영하는 데에도 많은 비용이 듦 ex) 에니악(ENIAC), ABC(Atanasoff-Berry Computer) → 초기 컴퓨터는 진공관 전자회로를 사용했으나, 진공관은 부피가 크고, 자주 고장나며, 많은 열이 발생함 → 이후 1947년 벨연구소에서 개발한 트랜지스터(transistor)는 진공관을 대신할 수 있는 값싸고 효율적이며, 컴퓨터의 크기를 줄이는데 큰 공을 세웠음 → 실리콘 칩에 수많은 트랜지스터와 전자회로를 결합..

데이터와 정보

- 인터넷(Internet) : 전 세계의 컴퓨터가 서로 연결된 거대한 규모의 네트워크 → 방대한 양의 문서가 존재 →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데이터 및 정보 교류 가능 → 정보의 바다라고 불림 - 데이터(Data) : 어떠한 작업을 처리하는데 있어 참고하기 위해 기록해 놓은 것 → 기업, 학교 등 사회 전 분야에서 사용 ① 공공 데이터 : 개인 및 기관에서 참조할 수 있도록 관리 및 제공하는 데이터 ② 참고데이터, 조사데이터 : 과제물을 작성하는데 참고한 문서 및 조사한 사항을 정리한 문서 더보기 데이터의 사전적 의미 ① 이론을 세우는데 기초가 되는 사실이나 바탕이 되는 자료 ② 관찰이나 실험, 조사로 얻은 사실이나 정보 → 컴퓨터 분야에서의 데이터 : 관찰, 측정을 통해 얻은 수치 및 문자와 같은 변..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