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소설 9

희곡과 시나리오(시나리오의 특징)

시나리오란? 영화촬영을 목적으로 한 각본으로, 영화 장면의 순서, 배우의 대사와 동작 등을 표현한다. → 시퀀스(sequence), 장면(scene)을 단위로 한다. → 화면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촬영을 어떻게 할지 고려해야 하고, 시각적 장치뿐만 아니라 청각적 음향 효과를 적절히 활용할 수도 있다. +) 시퀀스와 장면의 개념 시퀀스(sequence)는 하나의 이야기가 시작되고 끝나는 독립적인 구성 단위를 말하고, 장면(scene)은 같은 장소에서 같은 시간에 벌어지는 사건을 나눈 단위를 말한다. +) 음향 효과의 기능 → 장면의 분위기를 형성한다. → 사건의 흐름에 집중하게 한다. → 현장감 및 생동감을 불어넣는다. · 시나리오 용어 (1) S# (Scene Number) : 장면 번호 (2) NAR (..

국어 2022.04.04

사건과 갈등(내적 갈등과 외적갈등)

내적갈등이란? 한 인물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상반되거나 분열된 심리가 원인이 되는 갈등 → 인물이 겪는 '고민, 불안, 망설임, 고뇌, 분노'등도 내적갈등에 포함된다. +) 내적갈등은 양자택일만 해당하는것이 아니다. '짬뽕이냐, 짜장면이냐'와 같은 고민만 내적갈등으로 알고있으면 안된다. 인물의 불편한 내면 상태를 나타내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내적갈등을 이해해야 문제를 풀 수 있다. ex) 나는 피로와 공복 때문에 무너져 들어가는 몸뚱이를 끌고 그 회탁의 거리 속으로 섞여 들어가지 않는 수도 없다 생각하였다. 나서서 나는 또 문득 생각하여 보았다. 이 발길이 지금 어디로 향아여 가는 것인가를 ······ 그때 내 눈앞에는 아내의 모가지가 벼락처럼 내려 떨어졌다. → '발길이 ~ 것인가를'에서 고민하고 있는..

국어 2022.04.01

사건과 갈등(액자식 구성 / 병렬 · 병치, 교차)

액자식 구성이란? 하나의 이야기(외화) 속에 또 하나의 이야기(내화)가 들어 있는 구성을 말한다. → 내부 이야기가 핵심이며, 외부 이야기와 내부 이야기는 각각 독립적인 사건이다. → 두 이야기의 시점은 다른 경우가 많고, 특히 내부 이야기는 외부 이야기의 서술자가 들려주는 형식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3인칭 시점인 경우가 많다. ex) 이것은 내 중학 이삼 년 시절, 여름방학 때 내 외가가 있는 목넘이 마을에 가서 들은 이야기로, 그때 간난이 할아버지와 김 선달과 차손이 아버지가 서산 앞 우물가 능수버들 아래에 일손을 쉬며 와 앉아, 이런 이야기 저런 이야기 끝에 한 이야기다. - 황순원, → 외화의 서술자인 '나'가 내화인 목넘이 마을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나'가 서술자인..

국어 2022.03.31

사건과 갈등(순행적 구성과 역순행적 구성)

순행적 구성(= 평면적 구성)이란? 시간의 흐름대로 사건이 진행되는 구성방식이다. "추보식 구성"이라고도 하며, 일대기적 구성(주인공의 출생→죽음)은 고전소설에서 많이 나타난다. ex) 교씨가 이 말을 듣고 매우 기뻐하면서 십랑이 만들어 준 방자에 쓰이는 요망한 물건들을 사방에 두루 묻고 납매를 불러 음모의 절차를 자세히 일러 주었다. 은밀하게 일을 진행하니 집안에서는 세 사람 외에는 아무도 모르는 일이었다. 몇 달이 지나 가을이 되었다. 장주가 감기에 걸려 때때로 토하며 놀라는 증세를 보였다. 십랑이 말한 계책을 실행할 때가 온 것이다. - 김만중, 교씨, 십랑, 납매가 사씨를 내쫓기 위해 계책을 세우고, '몇 달이 지나' 이를 실행에 옮기는 장면이다. 시간이 경과했음을 알려주는 정확..

국어 2022.03.30

인물, 배경과 소재(배경과 소재)

배경 소설속에서 인물이 활동하고 사건을 벌이는 구체적인 시간과 공간 +) 배경의 의미 파악 배경은 그 자체보다 그것이 지닌 의미를 이해해야 주제와의 관련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배경과의 중점을 시간에 둔 소설은 주로 시간의 순서에 따라 사건이 발생하고, 주인공의 운명이 변화해 나간다. 반면, 배경의 중점을 공간에 둔 소설은 시간의식이 불분명한 대신 환경과의 갈등 관계등을 통해 인물의 성격이 분명하게 제시된다. 배경의 종류 (1) 시간적 배경 인물이 행동하고, 사건이 일어나는 기간이나 시대 (2) 공간적 배경 행동과 사건이 일어나는 자연환경이나 생활 환경 ex)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붓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붉은 대궁이 향기같이 애잔하고, 나귀들의 걸..

국어 2022.03.30

인물, 배경과 소재(인물, 인물의 성격)

인물이란? 소설에서 사건을 이끌어가는 주체를 말한다. - 역할에 따라 주동인물과 반동인물, 중요도에 따라 중심인물과 주변인물로 구분한다. +) 인물을 겉으로만 파악해서는 안될까? 소설에서 인물은 작가가 생각하는 주제를 구현하므로, 고유한 개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인물을 파악할 때는 그 인물이 지닌 기질과 성격, 개성까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인물의 구분 (1) 중심인물 : 주인공이나 그에 버금가는 주요인물로, 복합적이고 입체적으로 그려진다. (2) 주변인물 : 대부분 평면적으로 그려져 주인공을 돋보이게 하는 인물이다. (3) 주동인물 : 작가가 의도하는 주제의 방향에 따르는 인물로, 주인공이라고도 한다. (4) 반동인물 : 작가가 의도하는 주제의 방향에 역행하는 인물로, 주인공과 대립한다. ex) ..

국어 2022.03.28

서술 방식(묘사)

묘사란? 서술자가 배경, 인물, 사건을 단순히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그림을 그리듯 구체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 장점 : 독자에게 대상을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다. -> 단점 : 지나친 묘사는 사건 전개를 지연시킨다. 묘사의 종류 (1) 배경묘사 소설 속에서 사건의 구체적 시간과 공간이나 자연적 배경을 묘사하는 것이다. 길은 지금 긴 산허리에 걸려 있다. 밤중을 지난 무렵인지, 죽은 듯이 고요한 속에서 짐승 같은 달의 숨소리가 손에 잡힐 듯이 들리며, 콩포기와 옥수수 잎새가 한층 달에 푸르게 젖었다. -> 비유적 표현을 통해 산길의 시간 및 공간적 배경이 묘사된다. 달밤의 생생한 분위기가 전달됨을 알 수 있다. 산허리는 왼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북한 달빛..

국어 2022.03.23

서술방식 (대화와 서술)

대화란? 소설 속의 등장인물들이 서로 주고받는 말을 말한다. -> 서술자는 대화를 통해 사건을 구체적으로 전개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제공한다. -> 등장인물의 심리나 성격, 태도를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대화가 쓰인 소설의 예를 보자. "그래, 이번 길에 고향 사람은 하나도 못 만났습니까?" -> '나'의 말을 통해 '그'가 고향에 갔다 오는 길이라는 정보를 알 수 있다. "하나 만났구마. 단지 하나." / "친척 되는 분이던가요?" "아니구마, 한 이웃에 살던 사람이구마." / 하고 그의 얼굴은 더욱 침울했다. "여간 반갑지 않으셨지어요." -> '나'는 '그'가 말을 계속 이어나갈 수 있도록 반응하며 '그'에 대한 우호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반갑다마다, 죽은 사람을 만난 것 같더마. 더구나 그 사람..

국어 2022.03.23

서술자와 시점(서술자)

서술자란? 소설 속에서 독자에게 이야기를 전하는 사람을 말한다. -> 소설의 내용을 독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작가가 만든 인물이다. -> 서사 내용과 독자 사이에서 이야기를 서술하고 이끌어나가는 역할을 한다. -> 서술자의 관점에 따라 이야기의 서술 방식과 효과가 달라진다. 그러므로 소설을 읽을 때 서술자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먼저 확인해야 한다. * 작가 = 서술자? -> 서술자와 작가를 동일한 존재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 소설에서 서술자는 작가가 생각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이야기꾼일 뿐이다. 서술자와 등장인물의 관계? 서술자와 등장인물이 일치하는지, 일치하지 않는지에 따라 1인칭 서술자와 3인칭 서술자로 구분할 수 있다. -> 서술자 = 등장인물 => 1인칭 서술자 -> 서술자 ≠ 등장인물 ..

국어 2022.03.19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