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메타인지 5

메타인지(연결형 인간)

아주대 김경일 교수는, 무언가에 익숙해지고, 점점 더 노련해지기만 한다면 결국 큰 난관을 겪게 될 것이고, 그게 바로 AI라고 말한다. 아래에 구글 입사 문제도 이 사람의 문제에서 변형한 것이 많다는 독일의 임상 정신과 의사 칼 던커의 문제가 있다. 이 문제의 답은, 약한 레이저를 여러 곳에서 동시에 쏘는 것이다. 위의 문제를 아무런 힌트 없이 풀 수 있는 학생은 불과 10% 밖에 되지 않는다. 그래서 김경일 교수는 학생들에게 다른 분야에서 비슷한 형식이 쓰인 예를 보여주었다고 한다. 이것이 바로 김경일 교수가 학생들에게 보여주었던 것이다. 같은 방법이지만, 군대 분야에서 쓰인 것이다. 이 영상을 보여주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래도 정답을 맞힌 학생들은 30%밖에 없었고, 위의 예에서 힌트가 있다고 알려준 ..

교육 2022.03.17

메타인지의 힘

위 사진은 김경일 교수가 메타인지의 힘을 보여주기 위해 아이들에게 실험을 할 때 썼던 도구들의 사진이다. 김경일 교수는 창의적 올림피아드에서 수상 경력이 여럿인 아이들에게, 재료를 고르고 어떠한 것을 만들라고 시켰고, 평범한 초등학교의 한 반에는 자신이 무엇을 만들고 싶은지 이해하고 얘기 하도록 한 다음, 재료를 고르도록 시켰다. 과연 이 두 그룹중에서 창의, 혁신, 개성, 독창성이 더 높았던 그룹은 어디일까? 사람들은 보통 창의력 부분에서 수상경력이 많은 아이들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실제로는 수상경력이 없는 지극히 평범한 학생의 그룹이 더 높았다. 그렇다면, 수상 경력이 많은 아이들을 제치고, 평범한 학생들이 창의, 혁신, 개성과 독창성이 더 높게 나왔던 이유는 무엇일까? 해답은 위 첫 문단에서 알 수있..

교육 2022.03.12

이재영 교수가 말하는 '노트'로 하는 메타인지

이재영 교수는 천재는 시대를 열어가는 사람, 1등은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사람이라고 하며, 우리 모두 천재가 될 수 있다고 한다. 이재영 교수는 천재들에게는 모두 공통점이 하나 있다고하는데, 그 공통점은 바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한 비망록. 즉, '노트'이다. 실제로, 레오나르도 다빈치, 존 로크, 아이작 뉴턴, 아인슈타인, 빈센트 반 고흐,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페러데이 법칙으로 유명한 마이클 페러데이까지 모두 자신의 생각을 정리한 노트를 가지고 있었다. 덧붙이자면, 페러데이는 화학물질 과다복용으로 기억상실에 걸렸었는데, 자신이 적은 노트로 기억상실을 극복했다고 한다. 이렇듯, 수많은 천재들이 '노트'를 사용해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며 시대를 열어나갔는데, 지금의 우리들은 글 쓰는 것이 마냥 어렵게 느껴져..

교육 2022.03.07

리사 손 교수가 말하는 메타인지

리사 손 교수는 메타인지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고 말한다. 첫번째, 메타인지는 자신을 보는 거울 자신을 보는 거울이라는건, 내가 무엇을 알고, 모르는지 혹은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등 나에 관한 모든것을 거울처럼 그대로 비춰 볼 줄 알아야한다는것이다. 두번째, 스스로를 믿는 능력 스스로를 믿는 능력은 말 그대로 나 자신을 내가 믿어 줄 수 있어야 한다. 내가 나를 믿는다는것이 자신감을 가지는 것과 비슷해보이지만, 자신감을 갖는것이 아닌, 나 스스로가 해낼 수 있다고 나를 믿어줘야한다는 것이다. 세번째, 나의 완벽하지 않은 모습을 인정하는것 사람은 모두 완벽하지 않다. 그저 자신이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고, 자신이 완벽하다고 착각하는것이다. 리사 손 교수에 따르면, 사람들은 완성의 착각 속..

교육 2022.03.04

메타인지

메타인지 == 자기 성찰 능력 == 자기가 부족한 점을 정확히 아는 능력 뇌는 자기 성찰 능력을 가지고 있다. BUT 능력은 개인별 차이가 크다. 뇌구조와 성적의 관계? = 실험 결과, 뇌 전전두엽의 회백질과 성적이 연관성이 크다는 결과가 나왔다. *회백질 : 고차원적 인지와 계획등 인간 특유의 능력과 관련있는 부위 또한, 메타인지 능력이 높을수록 회백질 두께가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 실제로, 한 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셀프테스트(메타인지)와 재학습을 두고 실험 해 본 결과는 셀프테스트를 한 학생들이 재학습을 한 학생들보다 성적이 높게나왔고, 학생들이 시험 전 예측했던 점수는 재학습 학생들이 셀프테스트 학생들보다 높게 나왔다. 학생들의 선호도 조사에서도, 70% 이상이 재학습이 셀프테스트보다 ..

교육 2022.03.03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