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6

이미지, 주제(시의 주제)

시의 주제란? 시인이 시를 통해서 독자에게 전달하고자하는 주된 의미나 중심생각을 말한다. 시에 빈출되는 주제를 알아보자. 시에 자주 등장하는 주제 1. 대상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 -> 서정갈래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주제이다. -> 사랑하는 사람과의 만남과 이별, 이별로 인한 그리움을 노래한 작품이 많다. -> 죽음에서 비롯된 상실감과 그리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작품도 존재한다. -> 애상적 정서를 중심으로 대상에 대한 애틋함과 안타까움의 정서가 드러난다. 사랑과 그리움의 주제가 사용된 예시를 보자. '무쇠로 황소를 만들어다가 쇠로 된 나무가 있는 산에서 그 쇠소가 쇠풀을 먹으면'이라는 불가능한 상황을 설정하고 이러한 상황이 일어나야 이별하겠다고 함으로써 이별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국어 2022.03.18

이미지, 주제(이미지의 방향성과 운동성)

이미지의 방향성이란? 이미지의 방향성은 상승과 하강으로 나뉘는데, 하나씩 알아보자. -> 상승 이미지 : 위로 오르는 듯한 느낌을 불러일으키는 이미지로, 주로 긍정적 이미지로 사용된다. -> 하강 이미지 : 아래로 향하는 듯한 느낌을 불러일으키는 이미지로, 주로 부정적 이미지로 사용된다. 상승과 하강의 이미지가 사용된 예시를 보자. 모란이 피기까지는 /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 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 뻗쳐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네다 - 김영랑,..

국어 2022.03.17

이미지, 주제(이미지)

이미지란? 시어에 의해 마음속에 떠오르는 구체적이고 선명한 영상이나 감각적인 인상을 말한다. 이미지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을까? 이미지는 크게, 감각적 이미지, 색채 이미지, 계절감을 나타내는 이미지로 나뉜다. 하나씩 알아보자. (1) 감각적 이미지 -> 시각적 이미지 : 형태의 묘사나 색채어 등을 사용하여 눈으로 보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미지로, 빛깔이나 모양, 움직임 등이 모두 이에 해당한다. -> 청각적 이미지 : 구체적인 소리를 표현한 의성어와 같이 귀로 듣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미지이다. -> 후각적 이미지 : 냄새나 향기와 같이, 코로 냄새 맡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미지 이다. -> 미각적 이미지 : 맛을 나타내는 시어를 통해 혀로 맛을 보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미지 이다. -> 촉각적 이미지 ..

국어 2022.03.17

시의 전개(시상, 기승전결, 시간의 흐름)

시상은 무엇일까? 시상은, 시에 담긴 시인의 생각이나 감정을 말한다. 시상의 전개과정? -> 시상의 전개과정은 시인이 자신의 생각을 일정한 질서에 따라 한 편의 시로 조직해 나가는 과정을 말한다. 전개과정에는 어떤것들이 있을까? - 유발 : 시상 유발의 매개체를 활용해 정서를 불러일으킨다. - 확산 : 시적대상을 확대시킨다. - 집약 : 화자의 정서를 집중시켜 주제의식을 드러낸다. - 전환 : 정서나 분위기가 급격하게 바뀜으로써, 시에 따라 나타나기도 하고, 나타나지 않기도 한다. - 마무리 : 시상을 종료한다. 이러한 대표적인 과정은, '기승전결'과 '시간의 흐름'이 있다 기승전결 과정은, 시상 제기[기] -> 시상의 심화와 계승[승] -> 시상 전환[전] -> 중심생각 계시와 시상 마무리[결]의 흐름..

국어 2022.03.15

다양한 표현방법(고전 시가의 표현법)

이전시간에는 비교와 대조, 대비에 관해 알아봤다. 이번시간에는, 고전 시가에서 쓰이는 표현법에 관해 알아보자. 고전 시가의 표현법에는 관습적인 상징어 사용과 한자성어, 한자어, 고사의 사용 및 인용이 있다. 제일 먼저 관습적인 상징어의 사용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 관습적인 상징어의 사용에는 (1) 긍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시어 와 (2)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시어 두 가지로 나뉜다. 긍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시어에는 무엇이 있을까? (1) 긍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시어 -> 매화, 국화 : 추운 겨울에 피는 꽃이라는 특성을 가졌다. 매화와 국화는 지조와 절개를 의미한다. -> 소나무, 대나무 : 곧고 항상 푸르다는 특성이 있다. 소나무와 대나무는 충정, 지조, 절개, 선비정신을 의미한다. -> 하늘과 ..

국어 2022.03.14

화자, 정서와 태도(화자와 중심대상)

첫번째, 화자와 중심대상 시에서 화자란? 화자는, 시 속에서 말하는 사람을 뜻하고, 주로 시에서 3가지 방식으로 나타난다. 1. 표면적 화자 -> 표면적 화자는 시에서 화자가 직접적으로 나타나는 화자로, 보통은 '나', '우리'와 같이 화자를 직접적으로 명시해주는 단어가 있다. 2. 이면적 화자 -> 이면적 화자는 시에서 직접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시의 제목이나 시의 내용으로 유추가 가능한 화자를 말한다. 서정주의 을 예로 들어보면, 향단아 그넷줄을 밀어라. 머언 바다로 배를 내어 밀듯이, 향단아. 이 시에서 향단이에게 말을 거는듯한 내용과, 이라는 제목을 보면, 화자가 춘향이라는것을 유추할 수 있다. 이것이 이면적 화자이다. 마지막으로, 화자가 시에 직접적으로 나타나지도, 유추할 수 도 없는 경우가..

국어 2022.03.1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