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메타인지

KIKI_BI0 2022. 3. 3. 12:01
SMALL

메타인지 == 자기 성찰 능력 == 자기가 부족한 점을 정확히 아는 능력

 

뇌는 자기 성찰 능력을 가지고 있다. BUT 능력은 개인별 차이가 크다.

뇌구조와 성적의 관계?

= 실험 결과, 뇌 전전두엽의 회백질과 성적이 연관성이 크다는 결과가 나왔다.

   *회백질 : 고차원적 인지와 계획등 인간 특유의 능력과 관련있는 부위

또한, 메타인지 능력이 높을수록 회백질 두께가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

 

실제로, 한 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셀프테스트(메타인지)와 재학습을 두고 실험 해 본 결과는 셀프테스트를 한 학생들이 재학습을 한 학생들보다 성적이 높게나왔고, 학생들이 시험 전 예측했던 점수는 재학습 학생들이 셀프테스트 학생들보다 높게 나왔다.

학생들의 선호도 조사에서도, 70% 이상이 재학습이 셀프테스트보다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학생들이 재학습을 선호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리사 손 교수의 말에 따르면, 학생들은 셀프테스트에서 주는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해 틀린 공부 방법이라고 정의하게된다고 한다.

반면에, 재학습은 스트레스를 주지않아 쉽고 편안하게 공부가 가능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공부가 잘 되고 있다는 착각을 가진다고 한다. 정작 재학습은 성적에 도움이 되지않는다. 

 

성적이 잘 나오게하는 올바른 공부법은 무엇일까?

리사 손 교수는 '배울때 힘들어야 배운 것이 오래간다'고 했다.

혼자 공부해도 누군가와 함께 공부하는 것 처럼 끊임없이 셀프테스트를 해야하고, 자신이 부족한 점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학습법이 바로 '메타인지'라는거다.

메타인지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자기평가' 와 '자기조절'이다.

이렇게 두 가지가 잘 맞으면, 공부가 잘 되는 것이다.

 

메타인지 테스트 영상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