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리사 손 교수가 말하는 메타인지

KIKI_BI0 2022. 3. 4. 14:28
SMALL

리사 손 교수는 메타인지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고 말한다.

첫번째, 메타인지는 자신을 보는 거울

자신을 보는 거울이라는건, 내가 무엇을 알고, 모르는지 혹은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등 나에 관한 모든것을 거울처럼 그대로 비춰 볼 줄 알아야한다는것이다.

두번째, 스스로를 믿는 능력

스스로를 믿는 능력은 말 그대로 나 자신을 내가 믿어 줄 수 있어야 한다. 내가 나를 믿는다는것이 자신감을 가지는 것과 비슷해보이지만, 자신감을 갖는것이 아닌, 나 스스로가 해낼 수 있다고 나를 믿어줘야한다는 것이다.

세번째, 나의 완벽하지 않은 모습을 인정하는것

사람은 모두 완벽하지 않다. 그저 자신이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고, 자신이 완벽하다고 착각하는것이다. 리사 손 교수에 따르면, 사람들은 완성의 착각 속에서 살아간다고 한다. 

완성의 착각이란 무엇일까?

완성의 착각은, 무언가에 대해 자신이 부족한 것이 훨씬 많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그것에 대해 완벽히 잘 알고있다고 착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타인에게 자신의 의견, 설명에 대해 지적을 받거나, 거절을 당해버리면 자기 자신을 숨겨 버리게 되고, 자존감이 낮아지게 된다.

리사 손 교수는 완성의 착각속에서 살아가지 않으려면, 자신의 완벽하지 않은 모습을 인정하고, 끊임없이 생각하고 생각하는 '브레인 스톰'속에 자신을 밀어넣어야한다고 말한다. 브레인 스톰에 자신을 끊임없이 밀어넣으면서, 생각에 생각 또 생각을 하게되는것이 바로 메타인지 라는 것이다.

그렇게 메타인지를 끊임없이 행하고, 행하다보면 어느 순간 자기 자신을 알게되고, 내 스스로에게 믿음이 생기며, 완성된 착각 속에서 벗어나게 된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타인에게 내 자신을 거절 당했을때, 이겨 낼 수 있는 용기가 생겨 결론적으로 자존감 역시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방심해서도 안된다. 자기 자신을 완벽히 알게 되었다는 생각 조차도 완성의 착각이 될 수 있는것이다.

그렇기에, 사람은 완성의 착각에 빠지지않도록 끊임없이 '브레인 스톰'을 해가며 자기 자신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세바시 리사 손 교수 메타인지

 

 

LIST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영 교수가 말하는 '노트'로 하는 메타인지  (0) 2022.03.07
빛과 공간, 상대성이론  (0) 2022.03.05
메타인지  (0) 2022.03.03
지구가 탄생한 과정  (0) 2022.02.28
우주 탄생 ~ 인류문명[138억 년 연대기]  (0) 2022.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