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1

H-R도

KIKI_BI0 2022. 4. 18. 12:16
SMALL

· H-R도

→ 가로축은 표면온도와 색지수를, 세로축은 절대등급과 광도를 나타낸다.

- 가로축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표면온도는 점점 더 낮아지고, 색지수가 0인 A형을 기준으로 왼쪽으로 가면 색지수가 -, 오른쪽으로 가면 색지수가 +이다.

- 세로축해서 위로갈수록 절대등급은 낮아지고, 광도는 높아진다.

중간에 길게 분포된 범위를 주계열성, 그 오른쪽에 위치한 별들을 거성,초거성이라하고 왼쪽에 위치한 별들을 백색왜성이라고 한다.

 

 

 

·  별의 종류

① 주계열성(main sequence)

 

 

→ 주계열성은 중앙에 길게 분포한 별들을 말한다.

- 왼쪽 위로 갈수록, 표면온도(T)와 광도(L), 질량, 크기(R)이 높아지고, 수명(t)는 작아진다.

- 오른쪽 아래로 갈수록, 표면온도(T)와 광도(L), 질량, 크기(R)은 낮아지고, 수명(t)는 커진다.

 

 

 

② 적색거성, 초거성(giant star, supergiant star)

 

→ 주계열성의 오른쪽에 분포한 별들 중에서, 비교적 위쪽에 위치한 별들을 초거성이라 하고, 아래쪽에 위치한 별들을 거성이라고 한다.

- 이 별들은 같은 분광표에 놓인 별들에 비해 표면온도(T)가 낮고, 광도(L)와 크기(R)가 높으며, 밀도는 작다.

 

 

 

③ 백색왜성(white dwarf)

 

 

→ 주계열성 왼쪽에 위치한 별무리들을 백색왜성이라고 한다.

- 백색왜성은 같은 분광표에 분포한 별들에 비해 표면온도(T)가 높고, 광도(L)와 크기(R)가 작으며, 밀도는 크다.

 

 

 

 

· 광도계급(M-K 분류)

: 별을 광도에 따라 7개 계급으로 구분하는것

 

 

I 은 초거성, II와 III은 거성, IV는 준거성, V는 주계열성을 나타낸다.

사진에 나와 있진 않지만, 주계열성 광도 밑에 VI에 해당하는 준왜성과,  계급이 VII인 백색왜성이 있다.

 

 

 

 

H-R도 강의

 

LIST

'지구과학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의 진화  (0) 2022.04.20
별의 에너지원과 내부구조  (0) 2022.04.19
별의 물리량(3) - 광도와 크기  (0) 2022.04.17
별의 물리량(2) - 표면온도  (0) 2022.04.15
별의 물리량(1) - 스펙트럼  (0) 2022.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