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1

외계 행성계 탐사(도플러 효과)

KIKI_BI0 2022. 4. 22. 12:03
SMALL

도플러 효과란?

파원이 관측자에게 가까워지거나 멀어질때 파장이 짧아지거나 길어지는 현상

 

 

 

 

 

 

 

→ 적색편이

별이 관측자의 시선으로 부터 후퇴 / 파장이 길어짐 / 시선속도가 0보다 큼

→ 청색편이

별의 관측자의 시선으로 접근 / 파장이 짧아짐 / 시선속도가 0보다 작음

 

→ 1번

- 관측자의 시선으로부터 행성은 후퇴, 중심별은 접근 = 청색편이로 파장이 감소

→ 2번 = 행성과 중심별이 접근, 후퇴 아무것도 없어 도플러효과 X

→ 3번

- 관측자의 시선으로부터 행성은 접근, 중심별은 후퇴 = 적색편이로 파장이 증가

→ 4번 = 2번과 같은 이유로 도플러 효과 X

 

① 관측자의 시선방향과 행성의 공전궤도면이 수직일때는 이용 할 수 없다.

② 행성의 질량이 클수록 행성의 존재를 확인하기 쉽다.

 

 

LIST

'지구과학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계행성계 탐사( 미세중력렌즈현상)  (0) 2022.04.26
외계행성탐사(식현상)  (0) 2022.04.23
외계 생명체 탐사(생명가능지대)  (0) 2022.04.21
별의 진화  (0) 2022.04.20
별의 에너지원과 내부구조  (0) 2022.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