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① 중력 렌즈 현상 : 거리가 다른 두 천체가 같은 시선방향에 있을 때 뒤쪽에 있는 천체로부터 오는 빛이 앞쪽에 있는 천체의 중력에 의해 렌즈를 통과한것처럼 굴절되는 현상
→ 그 결과, 광도가 크게 관측되거나 상이 여러개로 관측된다.
→ 보통 은하들이 모여있는 은하단에 의해 나타나지만, 하나의 별 또는 행성에 의해서도 미세하게 나타날 수 있다.
② 미세 중력 렌즈 현상 : 거리가 다른 두 개의 별이 같은 방향에 있을 경우, 뒤쪽 별의 별빛이 앞쪽별의 중력에 의해 미세하게 굴절되어 휘어지면서 뒤쪽 별의 밝기가 변하는 현상
→ 만약 앞쪽 별이 행성을 가지고 있다면, 행성에 의한 미세중력렌즈현상이 추가되어 뒤쪽 별의 밝기가 추가적으로 변한다.
→ 관측자의 시선방향과 행성의 공전궤도면이 수직일때도 이용할 수 있다.
→ 지구와 같이 질량이 작은 행성을 찾는 데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 주기적인 관측이 불가능하다.
* 도플러효과, 식현상, 미세중력렌즈현상 모두 간접적인 탐사방법이다.
③ 직접 관측하는 방법
→ 중심별을 가리고 행성을 적외선 영역으로 촬영
→ 행성의 거리가 가깝고, 반지름이 크며, 표면온도가 높을 때 관측하기 좋다.
④ 지금까지의 관측
LIST
'지구과학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부은하 (0) | 2022.04.27 |
---|---|
외계행성탐사(식현상) (0) | 2022.04.23 |
외계 행성계 탐사(도플러 효과) (0) | 2022.04.22 |
외계 생명체 탐사(생명가능지대) (0) | 2022.04.21 |
별의 진화 (0) | 2022.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