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형이상학

KIKI_BI0 2022. 6. 18. 10:03
SMALL

형이상학이란?

자연과학에 우선하는 초월 학문으로, 형이상학의 어원은 '메타피지카(metaphysica)'이다.

'자연과학 너머'라는 뜻으로, 자연과학에 우선하는 학문이라는 뜻이다.

형이상학은 세계의 궁극의 근거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

 

바위를 예로 들어보면, 

'바위는 어떤 원리로 구르는가?'. '바위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를 탐구하는것이 자연과학이라면, 

형이상학은 '바위란 무엇인가?', '바위는 왜 세상에 존재하는가?' 등을 고찰하는 학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 '바위란 무엇인가'를 고찰한다는 것은 곧, 바위의 실체를 탐구하는 것과 같다.

플라톤에게 있어서는 바위의 보편적 특성으로서의 이데아가 실체이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구체적 개별 사물로서의 바위그 자체가 실체이다.

 

초자연적 원리를 토대로 사물의 초월적 본질을 고찰하는 형이상학은 우주의 탄생에 관해서도 자연의 원리로 분석하지않고 신의 의지나 인간의 정신으로 논하려 든다. 

 

 

- 인간이란 무엇인가

1.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

→ 역사 속의 인간관_합리적, 사회적 본성(이성주의, 공리주의 관점) vs 이기적, 충동적 본성(진화론적 관점, 프로이트의 '무의식')

→ 진화생물학적 관점_이기적 유전자(이기주의) vs 이타적 유전자(이타주의) vs 상호 이타주의

→ 도덕적 관점_성선설과 성악설과 성무선악설, 자유의지론과 결정론(유전자 결정론 vs 환경 결정론)

 

2. 인간 존재의 본질

→ 정신적 존재인가, 육체적 존재인가

→ 기계 같은 인간 vs 인간 같은 기계

→ 유심론과 유물론(칸트의 관념론과 마르크스의 유물론)

→ 정체성 혼란_리플리 증후군의 예

→ 자아동일성 문제_'나'는 '나'인가

 

3. 변화하는 시공간 속 인간

→ 동양의 인간관_유교의 윤리적 인간관, 불교의 평등적 인간관, 도교의 자연적 인간관

→ 서양의 인간관_합리주의적 인간관, 그리스도교적 인간관

→ 한국의 인간관_홍익인간, 불교적 인간관, 성리학적 인간관, 실학적 인간관, 동학의 인간관

→ 인간 본성에 따른 교육_루소의 자연주의 교육, 맹자의 성선설에 따른 교육

 

4. 일원론과 이원론

→ 세계를 인식하는 두 관점_일원론적 사고와 이원론적 사고(정신과 물질, 의식과 육체, 이성과 감성)

→ 플라톤의 이데아론

→ 데카르트의 심신이원론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