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글쓰기 전략과 방식(주장/설득하는 글쓰기)

KIKI_BI0 2022. 4. 28. 13:02
SMALL

· 주장(설득)하는 글쓰기

→ 설득을 위한 글이란, 글쓴이가 자신의 주장이나 견해를 독자에게 이해시키고, 독자로 하여금 그 주장이나 견해를 믿고 따르도록 유도하는 글

→ 글쓴이가 자신의 주장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글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주장하고자 하는 의견이나 관점을 명확하게 드러내야 한다.

 

+) 설득하는 글쓰기

설득하는 글을 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타당한 근거가 중요하다.

주장을 논리적으로 뒷받침 할 수 있는 타당한 논거를 제시해야 독자를 설득할 수 있다.

타당한 논거가 풍부할수록 주장의 설득력이 높아질 수 있다.

 

(1) 주장하는 글의 구조

서론 : 문제상황을 제기하고 독자의 관심을 끈다.

본론 : 문제에 대한 주장이나 근거를 제시한다.

결론 : 본론을 요약하거나 주장을 재강조한다.

 

+) 독자의 관심 유도란?

글의 도입부 혹은 서론에서 글에 대한 독자의 흥미를 이끄는것이 중요하다.

독자의 관심을 끌기위해 질문을 던지거나 현상과 관련된 예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 결론의 내용

결론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는 것 뿐만 아니라, 부족했던 논의에 대해  보충 or 부연설명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주장하고자 하는 바를 강조할 수 있다.

 

(2) 설득력있는 표현 전략을 사용하여 글쓰기

→ 주장을 강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 이중부정표현, 설의법, 적절한 비유

→ 표현전략의 선택 : 설득하는 글의 내용, 독자의 배경지식등을 고려하여 설득력이 더 높은 표현전략을 선택하고 활용하기

 

· 논리적 오류

논증이란 논리적 근거를 통해 옳고 그름을 따지는 것을 의미한다.

글쓴이의 주장이 타당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논리적 오류가 없어야한다.

①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 소수의 일부 사례를 근거로 전쳉의 특징을 일반화하는 오류

② 흑백 논증의 오류

: 대상에 대해 이분법적으로 접근하여 중간을 인정하지 않는 오류

③ 순환 논증의 오류

: 주장이나 의견에 대한 근거로 그 주장이나 의견을 다시 제시하는 오류

 

(3) 설득을 위한 글쓰기 유형

① 논설문

: 설득을 위한 가장 대표적인 글쓰기 유형이다.

② 칼럼(논평)

: 시사적인 문제나 사회현상에 대해 평가하는 글로, 신문이나 잡지에 기고하는 형식

③ 연설문

: 한 사람의 연사가 다수의 청중을 대상으로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말하기 위해 작성하는 것으로, 이성적, 감성적, 인성적 설득전략을 적절하게 사용할 때 효과적이다.

④ 건의문

: 어떠한 문제에 대하여 개선 할 부분을 요구하거나 상대가 특정행동을 하도록 촉구하는 글의 유형이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