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다양한 표현방법(비교와 대조, 대비)

KIKI_BI0 2022. 3. 12. 15:55
SMALL

이전에는 운율과 수사법에 관해 알아봤다.

이번에는 비교와 대조, 대비에 관해 알아보자.

 

먼저 비교란 무엇일까?

비교란, 두 가지 이상의 사물의 크기나 성질, 내용, 모습등의 정도를 견주어 시적 대상을 선명하게 표현하는 방법이다.

-> 일정한 기준에 따른 두 사물의 차이점에 주목하는 대조와는 달리, 공통점에 관한 수사법이다.

이렇게 말하면 헷갈릴 수 있으니, 예시를 보자.

 

아! 강낭콩꽃 보다는 더 푸른 / 그 물결위에 / 양귀비꽃 보다도 더 붉은 / 그 마음 흘러라.

                                                                                                    - 변영로, < 논개 >

 

이 시에서 푸르다는 공통된 속성을 이용해 '물결'을 '강낭콩꽃'과 비교하고, 마찬가지로 붉다는 공통된 속성을 이용해 '마음'을 '양귀비꽃'과 비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식으로 공통된 속성을 이용해 두 가지의 사물을 비교하는 것이 '비교법'이다.

 

다음으로 대조란 무엇일까?

위에서 간단히 얘기했지만, 여기서 조금 더 설명하겠다.

대조는, 주제를 강조하거나 이미지를 선명하게 드러내기 위해서 서로 반대되거나 눈에 띄게 다른 낱말이나 어구를 맞세워 놓는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대비는, 대조와 유사한 개념으로, 두 가지의 차이를 밝히기 위해 서로 맞대어 비교하는 방법이다.

-> 대비는 비교보다는 차이점이 더 두드러지긴 하지만, 대조처럼 대립하는 속성만 두드러지게 표현하지는 않는다.

대비에 관해 좀 더 깊이 들어가, 대비의 종류를 알아보자.

 

(1) 공간의 대비 : 작품속에 나타나는 두 공간의 속성이 반대되는 것을 말한다.

(2) 이상과 현실의 대비(괴리) : 이전글에도 설명했듯이, 화자가 소망하는 이상이 현실에서 제약으로 인해 실현되지 않을때, 이상과 현실의 대비가 나타난다.

+) 괴리란, '서로 어그러져 동떨어졌다.'는 의미이다.

공간의 대비와 이상과 현실의 대비가 쓰은 예를 보자.

 

시(詩)를 쓰는, / 이 아래층에서는 아낙네들이 / 계(契)를 모은다 (중략)

열에 하나가 부족한 / 계단을 오르면 / 상층(上層)은 / 공기가 희박했다.

                                                                           - 박목월, < 상하 >

 

이 시에서 '아래층'은 '아낙네'들이 '계'를 모으는 현실적인 공간으로 묘사되고, '상층'은 화자가 '시'를 쓰는 이상적이고 예술적인 공간으로 묘사되므로, '아래층'과 '상층'에는 공간의 대비와 이상과 현실의 대비가 드러남을 알 수 있다. 

 

(3) 색채의 대비 : 선명한 색채의 속성이 상반되는것을 말한다.

(4) 인간과 자연의 대비 : 인간이 지닌 속성과 자연이 지닌 속성이 상반되는것을 말한다.

이 두가지가 모두 사용된 시를 보자.

 

청초(靑草)우거진 골에 자는다 누어는다 / 홍안(紅顔)을 어듸 두고 백골(白骨)만 무쳣는다

                                                                                                                - 임제

 

'청초'는 푸른 풀로 자연의 불변함을 상징하며, '홍안'은 '백골'로 묻혀 있는 황진이의 붉은 얼굴로 인간의 유한함을 상징한다. 따라서 '청초'와 '홍안'은 푸른색과 붉은색의 색채대비와, 유한한 인간과 영원한 자연간의 대비가 드러남을 알 수 있다.

 

(5) 시어의 대비 : 상반되는 의미의 시어를 맞대어 시적 효과를 드러내는 것을 말한다.

(6) 명암의 대비 : 밝은 이미지의 시어와 어두운 이미지의 시어가 대비되는것을 말한다.

(7) 과거와 현재의 대비 : 과거와 현재의 상황이나 처지가 대비되는 것으로, 화자가 과거의 장면을 떠올리는 과거회상이 자주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이 세가지 표현법이 모두 사용된 시를 보고 마치도록 하자.

 

어두운 방안엔 / 빠알간 숯불이 피고, (중략)

아 아버지가 눈을 헤치고 따오신 / 그 붉은 산수유 열매 - (중략)

이따금 뒷문을 눈이 치고 있었다. /  그날 밤이 어쩌면 성탄제의 밤이었을지도 모른다. //

어느새 나도 / 그때의 아버지만큼 나이를 먹었다. // 옛것이라곤 찾아볼 길 없는

성탄제(聖誕祭)가까운 도시에는 / 이제 반가운 그 옛날의 것이 내리는데, 

                                                                                        - 김종길, < 성탄제 >

 

여기서 '어두운'은 어두운 이미지의 시어이며, '빠알간'은 밝은 이미지의 시어이므로 명암의 대비가 드러나며, '붉은 산수유 열매'는 아버지의 헌신적 사랑을 의미하고 '눈'은 흰색 이미지로 고난과 시련을 의미하므로, 시어와 색채의 대비가 드러난다. 또한 '옛것이라곤 찾아볼 길 없는 ~ 옛날의 것이 내리는데'에서 과거와 현재의 대비가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여기까지 비유와 대조, 대비와 관해 알아봤다. 다음에는 고전시가의 표현법에 대해 알아보자.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