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다양한 표현 방법(비유와 상징)

KIKI_BI0 2022. 3. 11. 17:01
SMALL

비유란 무엇일까?

비유란, 표현하고자하는 대상을 직접 설명하지 않고, 그와 유사한 다른 대상에게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이다.

비유에는 여러가지 방식이 있는데, 비유법의 종류와 각각의 의미를 알아보자.

 

1. 직유법

-> 직유법이란, '~처럼, ~같이, ~듯이'와 같은 연결어를 사용하여 원관념과 보조관념을 직접적으로 연결해 표현하는 방식이다.

 

2. 은유법

-> 은유법은, 원관념과 보조관념을 연결어로 사용했던 직유법과는 달리, 'A는 B이다.'의 형식으로 마치 두 대상이 동일한 것처럼 표현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A의 B' 형식이나, 원관념없이 보조관념으로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음을 알아두자.

 

+) 직유법과 은유법의 예시를 보기전에,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의미를 모른다면 알아두자.

원관념은, 시인이 본래 표현하고 드러내려는 대상을 의미한다.

보조관념은, 이러한 원관념을 효과적으로 빗대어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 대상을 의미한다.

 

알았다면, 이제 직유법과 은유법의 예시를 보자.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 저 푸른 해원(海原)을 향하여 흔드는

영원한 노스탤지어의 손수건 / 순정은 물결같이 바람에 나부끼고

오로지 맑고 곧은 이념의 푯대 끝에 / 애수는 백로처럼 날개를 펴다.

아아, 누구던가. / 이렇게 슬프고도 애달픈 마음을 / 맨 처음 공중에 달 줄을 안 그는.

 

                                                                                               - 유치환, <깃발>

 

이 시에서, 제목을 참고하면 '깃발'을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노스탤지어의 손수건'이라는 구절로 은유법을 사용해 표현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순정은 물결같이~', '애수는 백로처럼~' 이라는 구절을 보면, 순정을 물결로, 애수를 백로직유법을 사용해 표현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로 말하면, '아아, 누구던가.'라는 구절에서 이전 시간에 배웠던 영탄적 어조 또한 확인할 수 있다.)

 

3. 의인법

-> 의인법이란, 사물이나 관념처럼 사람이 아닌것에 인격적인 요소를 부여하여 사람처럼 표현하는 방법이다.

 

4. 활유법

-> 무생물을 생명이 있는 것처럼 표현하는 방식이다.

 

의인법과 활유법은 넓게보면 의미가 비슷해 보일 수 있기에, 예시를 보며 둘의 차이를 확실히 하고 가자.

 

모든 산맥들이 / 바다를 연모(戀慕)해 휘달릴때도

차마 이곳을 범(犯)하던 못하였으리라.

                                                   - 이육사, <광야>

 

이 시를 보면, '산맥'에 인격적 요소를 부여하여 '바다를 연모'한다고 표현하고 있으므로, 의인법이 사용되었고, 무생물인 '산맥'생명이 있는 것처럼 '휘달린다'고 표현하고 있으므로, 활유법이 사용되었다. (추가로, 이전 글을 봤다면 '~ 못하였으리라.'에서 단정적 어조가 쓰였음 또한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때까지 비유에 대해 알아봤다. 그렇다면, 상징은 어떤 것일까?

 

상징이란, 추상적인 개념이나 사물을 본래의 고유한 의미가 아닌, 다른의미를 제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대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 비유랑은 차이가 있는데, 그 차이가 오늘의 핵심이니 잘 알아두도록 하자.*

-> 상징은 비유와는 달리, 두 대상간의 공통성에 바탕을 두지 않을 뿐더러, 원관념없이 보조관념만 제시된다.

     이때의 보조관념은 여러가지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좀 더 보기 쉽게 비교하자면,

비유 상징
원관념 : 보조관념 = 1 : 1 원관념 : 보조관념 = 多 : 1
유사한 속성의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결합 사전적 의미 외에 다양한 의미로 해석이 가능
작품 일부분의 시어나 시구에서 사용됨. 작품 전체에 반복적으로 사용됨.

 

여기까지, 비유와 상징에 대해서 알아봤다.

비유와 상징의 종류와 의미도 중요하지만, 비유와 상징의 차이를 중점적으로 알아두자.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