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적암이란?
퇴적물이 다져지고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이다.
퇴적물 종류
-> 풍화 · 침식 작용을 받아 생성된 쇄설물
-> 물에 녹아있는 물질
-> 생물의 유해
퇴적물이 속성작용을 받으면 퇴적암이 되는데, 그 전에 속성작용에 대해서 알아보자.
속성작용의 과정
속성 작용은 퇴적물 사이의 공극을 줄여주는 다짐작용과, 남은 공극을 매꿔주는 교결작용으로 이뤄진다.
그 중에서 다짐작용이 일어나면, 퇴적물의 부피는 줄고, 밀도가 커지며, 공극의 크기는 작아진다.
이러한 속성작용을 받아 각 퇴적물마다 퇴적암이 생성된다.
(1) 풍화 · 침식 작용을 받아 생성된 퇴적물 → 쇄설성 퇴적암
(2) 물에 녹아있는 물질 → 화학적 퇴적암
-> 물에 녹아있는 물질은, 침전으로 생성되는 것이 있고, 물이 증발한 후 남은 잔류물로 생성되는 것이 있다.
(3) 생물의 유해 → 유기적 퇴적암
각각의 퇴적암에 대해 알아보자.
(1) 쇄설성 퇴적암
지표부근 암석이 풍화 · 침식을 받아 생성된 쇄설물이나 화산쇄설물(ex : 화산재)이 쌓여서 만들어진 퇴적암이다.
퇴적물 | 퇴적암 |
자갈 | 역암 |
모래 | 사암 |
점토 | 셰일 |
화산재 | 응회암 |
(2) 화학적 퇴적암
물에 녹아있던 물질이 화학적으로 침전되거나 물이 증발함에 따라 잔류하여 만들어진 퇴적암이다.
퇴적물 | 퇴적암 |
탄산칼슘 | 석회암(CaCO3) |
규질 | 처트(SiO2) |
염화 나트륨 | 염암(NaCl) |
-> 이 세가지 퇴적암중, 염화나트륨으로 인해 생성된 염암(NaCl)만 증발잔류물로 인해 생성된 퇴적암이다.
(3) 유기적 퇴적암
생물의 유해나 골격의 일부가 쌓여서 만들어진 퇴적암이다.
퇴적물 | 퇴적암 |
식물체 | 석탄 |
석회질 생물체 ex) 조개, 산호, 유공충 |
석회암 |
규질 생물체 | 처트, 규조토 |
퇴적구조란?
퇴적물이 쌓이면서 만들어진 구조를 말한다. 이러한 퇴적구조로, 그 당시의 퇴적환경과 지층의 역전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 점이층리
-> 환경 : 깊은 수심
-> 역전 판단 : 큰 입자가 바닥에 있으면 정상이고, 그렇지 않으면 지층이 역전된 것이다.
(2) 사층리
-> 환경 : 바람, 흐르는 물
-> 역전 판단 : 아래로 볼록하면 정상이고, 그렇지 않으면 지층이 역전된 것이다.
(3) 연흔
-> 환경 : 얕은 수심
-> 역전 판단 : 뾰족한 부분이 위에 있으면 정상이고, 그렇지 않으면 지층이 역전된 것이다.
-> 층리면에서도 퇴적구조 관찰이 가능하다.
(4) 건열
-> 환경 : 건조한 환경
-> 역전 판단 : 뾰족한 부분이 아래에 있으면 정상이고, 그렇지 않으면 지층이 역전된 것이다.
-> 층리면에서도 퇴적구조 관찰이 가능하다.
퇴적 환경
(1) 육상 환경
빙하, 사막(사층리가 나타남), 선상지, 하천
(2) 연안 환경
해빈, 삼각주
(3) 해양 환경
대륙붕, 대륙사면, 대륙대(점이층리), 심해저
-> 대륙붕에서 여러가지 퇴적물이 한번에 아래로 내려오는 저탁류가 발생해, 대륙대에 점이 층리가 생성될 수 있다.
<한반도 퇴적지형>
- 고생대 : 바다 밑에서 퇴적된 해성 퇴적
ex) 구문소(구문소 삽엽충 화석)
- 중생대 : 육지에서 퇴적된 육성 퇴적
ex) 채석강, 마이산, 덕영리 해안, 시화호
- 신생대 : 화산 지형
ex) 제주도 수월봉 -> 화산활동으로 분출된 화산재가 쌓인 응회암
'지구과학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사학의 법칙과 지질 연대 (0) | 2022.03.29 |
---|---|
지질구조 (0) | 2022.03.28 |
화성암과 마그마 (0) | 2022.03.25 |
고지자기와 대륙이동 (0) | 2022.03.24 |
플룸구조론 (0) | 2022.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