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란?
소설에서 사건을 이끌어가는 주체를 말한다.
- 역할에 따라 주동인물과 반동인물, 중요도에 따라 중심인물과 주변인물로 구분한다.
+) 인물을 겉으로만 파악해서는 안될까?
소설에서 인물은 작가가 생각하는 주제를 구현하므로, 고유한 개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인물을 파악할 때는 그 인물이 지닌 기질과 성격, 개성까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인물의 구분
(1) 중심인물 : 주인공이나 그에 버금가는 주요인물로, 복합적이고 입체적으로 그려진다.
(2) 주변인물 : 대부분 평면적으로 그려져 주인공을 돋보이게 하는 인물이다.
(3) 주동인물 : 작가가 의도하는 주제의 방향에 따르는 인물로, 주인공이라고도 한다.
(4) 반동인물 : 작가가 의도하는 주제의 방향에 역행하는 인물로, 주인공과 대립한다.
ex)
춘향이 아뢰되, / “죽으면 죽사와도 분부 시행 못하겠나이다.”
“제 무슨 잔말 하는고? 이제 바삐 수청들라!” / 춘향이 아뢰되,
“사또님은 세상이 변하오면 두 무릎을 꿇어 두 임금을 섬기려 하시나이까?”
사또 이 말을 듣더니 목이 메여 낭청다려 이른 말이, / “저년이 날더러 욕하였제?”
“예, 그년이 사또다려 역적이라 하옵니다.”
사또 대노하여, / “이년 급히 잡아 내리라!”
-> 춘향이 변 사또 앞에서 정절을 지키기 위해 수청을 거부하고 있으므로 주동 인물은 춘향, 반동 인물은 변사또임을 알 수 있다.
-작자 미상, < 춘향전 >
춘향이의 수청을 요구하는 변사또는 사건 전개에 중심적 역할을 하무로 중심인물이면서 주인공에 대적하는 반동 인물임이 드러난다.
인물의 성격이란?
인물을 특정짓는 언어 · 습관 · 태도 · 욕망 · 도덕을 포함한 개성으로서의 특유한 성질을 말한다.
+) 인물의 성격 파악하기
작가는 작품에서 인물의 계층적, 신체적, 개인적 특성을 중심으로 해당 인물의 성격을 드러내므로, 이를 중심으로 인물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인물의 성격 유형
(1) 평면적 / 입체적
→ 작품속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성격이 변하지 않고, 주위이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인물을 평면적 인물이라 말한다.
→ 반면, 한 작품속에서 성격이 발전하거나, 변화하는 인물을 입체적 인물이라고 한다.
+) 평면적 성격과 입체적 성격
- 평면적 성격을 갖는 인물인 평정적 인물은 정적 인물이라고도 한다. 독자에게 쉽게 파악되고, 오랫동안 기억되며, 주로 고전 소설에 등장한다.
- 입체적 성격을 가진 인물은 극적 인물, 발전적 인물이라고도 하며, 대개 현대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은 입체적이다.
(2) 비판적
→ 비판하는 태도나 입장을 보이는 인물
(3) 냉소적
→ 쌀쌀한 태도로 업신여겨 비웃는 인물
(4) 세속적 / 탈속적
→ 세상의 풍속을 벗어나지 못한 것을 세속적 인물, 부나 명예 따위의 현실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생활이나 생각에서 벗어난 것을 탈속적 인물이라고 한다.
(5) 우호적 / 적대적
→ 개인끼리나 나라끼리 사이가 좋은 것을 우호적, 적으로 대하거나 적과 같이 대하는 것을 적대적이라고 한다.
(6) 관습적
→ 어떤 사회에서 오랫동안 지켜 내려와 그 사회 성원들이 널리 인정하는 질서나 풍습에 따르는 인물
(7) 황금 만능 주의
→ 돈만 있으면 무엇이든 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사고방식이나 태도로, 배금주의 라고도 한다.
(8) 이중적
→ 겉과 속이 다른 이중인격적인 사람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물, 배경과 소재(배경과 소재) (0) | 2022.03.30 |
---|---|
인물, 배경과 소재(인물의 성격 제시 방법) (0) | 2022.03.29 |
서술방식(고전 소설의 서술 방식) (0) | 2022.03.25 |
국어 독서 몰랐던 개념 정리 (0) | 2022.03.24 |
서술 방식(문체) (0) | 2022.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