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 제시법(보여주기)
서술자가 인물의 성격을 직접 말하지 않고, 그 인물의 행동이나 대화, 혹은 묘사등으로 장면을 통해 나타내는 방법이다.
+) 간접 제시법에서 독자의 역할
인물의 성격을 간접적으로 제시할 때는, 서술자는 등장인물의 행동이나 버릇, 대화, 갈등을 장면화하여 보여줌으로써 독자의 상상력에 맡기기 때문에, 독자는 등장인물의 말과 행동이 어떠한 성격을 보여주는지, 더 주의깊게 살펴야 한다.
ex)
"천금이 쏟아진대두 난 땅은 못팔겠다. 내 아버님께서 손수 이룩허시는 걸 내 눈으로 본 밭이구, 내 할아버님께서 손수 피땀을 흘려 모신 돈으루 장만허신 논들이야. 돈 있다고 어디가 느르지논 같은 게 있구, 독시장밭 같은 걸 사? 느르지 논둑에 선 느티나문 할아버님께서 심으신 거구, 저 사랑 마당의 은행나무는 아버님께서 심으신 거다. 그 나무 밑에를 설 때마다 난 그 어룬들 동상이나 다름없이 경건한 마음이 솟아 우러러보군 헌다. 땅이란 걸 어떻게 일시 이해를 따져 사구팔구 허느냐? 따 ㅇ없어 봐라, 집이 어딨으며 나라가 어딨는 줄 아니? 땅이란 천지만물의 근거야. 돈 있다구 땅이 뭔지두 모르구 욕심만 내 문서 쪽으로 사 모기만 하는 사람들, 돈놀이처럼 변리만 생각허구 제 조상들과 그 땅과 어떤 인연이란 건 도시 생각지 않구 헌신짝 버리듯 하는 사람들, 다 내 눈엔 괴이한 사람들루밖엔 뵈지 않드라."
→ 아버지는 땅을 돈과 같은 교환 가치로만 판단하는 당대 사람들이나 세태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을 보이고 있으며, 땅을 소중하게 여기는 완고한 성격의 소유자임이 아버지의 말을 통해 간접적으로 드러난다.
- 이태준, < 돌다리 >
서울에 사는 의사인 아들이 시골에 계신 아버지에게 땅을 팔 것을 회유하고 있는 장면이다. 아버지는 일생동안 농사만 지어 온 농부로, 땅에 대한 강한 애착을 갖고 있고 물질적인 것보다는 인정과 의리를 소중하게 여기는 태도를 보이며, 자신의 주관이 매우 뚜렷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직접 제시법(말하기)
서술자가 직접 등장인물의 성격을 이야기하는 방법이다.
→ 인물의 외양 · 행동 · 성격적 특징을 나타내는 지배적 인상등을 서술자나 다른인물이 직접 설명 · 진술 · 논평한다.
+) 고전소설에서의 직접제시법
고전소설에서는 인물에 대해 서술자가 직접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작품의 초반부에 출생의 이력과 뛰어난 재능, 성품등에 대한 직접제시가 자주 나타난다는 것을 알아두자.
ex)
성화 초년, 경주에 박 서생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 그는 유학을 열심히 공부하여서 일찍 태학관에 들어갈 수 있었지만 한 번도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여 늘 우울한 마음을 품고 있었다. 그 뜻과 기상이 높고 빼어나서 어떤 권세에도 굽히려 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를 가리켜 '오만한 협사'라고 불렀다. 하지만 남들을 대하고 대화를 나누는 태도가 순박하고 성실하며 경박함이 없이 두터웠으므로, 고을 사람들은 모두 그를 칭찬하였다.
→ 박 서생에 대하여 성화 초년 경주 출생이라는 점, 뜻과 기상이 매우 높아 권세에 굽히려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는 점, 대화를 나누는 태도가 성실하고 순박하다는 점을 서술자가 직접 설명해 주고 있다.
- 김시습, < 남염부주지>
<남염부주지>는 김시습이 수양대군의 왕위 찬탈에 반대하여 경주 금오산에 은거하여 지은 작품으로, 경주에 살던 박 서생이 꿈속에서 남쪽 염주부(염라국)에 다녀온 후 꺠달은 내용이 중심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직접 제시와 간접제시의 비교
간접 제시 | 직접 제시 |
→ 서술자가 인물의 성격이나 행동(사건)을 묘사함 → 대화를 통해 사건이 전개되고 , 인물의 성격 행적 등이 드러남 → 성격이나 심리상태에 대한 간접적 표현 → 작가의 견해를 직접적으로 드러내기는 어려움 |
→ 서술자가 직접인물의 성격이나 특성, 배경, 사건의 전개등을 서술, 설명, 진술, 분석함 → 성격이나 심리상태에 대한 직접적인 분석과 설명 → 추상적인 설명으로 흐르기 쉬운 단점이 있음 |
+) 간접제시와 직접제시는 따로 쓰인다?
소설에서는 다양한 인물이 등장하는데, 인물의 성격을 어느 한 가지의 방법으로만 드러내는 것은 아니다.
사건이 진행되면서, 인물간의 대화와 행동을 통해 인물의 성격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기도하고, 인물의 심리나 성격을 요약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제시하기도 한다는것을 알아두자.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건과 갈등(순행적 구성과 역순행적 구성) (0) | 2022.03.30 |
---|---|
인물, 배경과 소재(배경과 소재) (0) | 2022.03.30 |
인물, 배경과 소재(인물, 인물의 성격) (0) | 2022.03.28 |
서술방식(고전 소설의 서술 방식) (0) | 2022.03.25 |
국어 독서 몰랐던 개념 정리 (0) | 2022.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