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인물, 배경과 소재(배경과 소재)

KIKI_BI0 2022. 3. 30. 11:22
SMALL

배경

소설속에서 인물이 활동하고 사건을 벌이는 구체적인 시간과 공간

 

+) 배경의 의미 파악

배경은 그 자체보다 그것이 지닌 의미를 이해해야 주제와의 관련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배경과의 중점을 시간에 둔 소설은 주로 시간의 순서에 따라 사건이 발생하고, 주인공의 운명이 변화해 나간다.

반면, 배경의 중점을 공간에 둔 소설시간의식이 불분명한 대신 환경과의 갈등 관계등을 통해 인물의 성격이 분명하게 제시된다.

 

배경의 종류

(1) 시간적 배경

인물이 행동하고, 사건이 일어나는 기간이나 시대

(2) 공간적 배경

행동과 사건이 일어나는 자연환경이나 생활 환경

 

ex)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붓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붉은 대궁이 향기같이 애잔하고, 나귀들의 걸음도 시원하다. (중략)

"장 선 꼭 이런 날 밤이었네. (중략) 거기서 난데없는 성서방네 처녀와 마주쳤단 말이네. 봉평서야 제일가는 일색이었지."

→ 시간적 배경은 달밤, 공간적 배경은 메밀꽃이 핀 산허리이다. 달빛은 허 생원의 일생 유일의 연애 이야기를 이끌어 내고 있으며, 메밀꽃과 함께 작품에 평화롭고 서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 이효석, < 메밀꽃 필 무렵 >

 

(3) 시대적 배경

소설 속에 나타나는 사회 현실과 역사적 상황, 시대적 상황, 문화적 배경 등 ···

시대적 배경은 소설의 주제를 부각시키며, 인물의 성격과 심리, 구성의 전개, 분위기에 맞추어 알맞게 꾸며진다.

 

ex) 

1945년 8월 15일, 역사적인 날. / 이날도 신기료 장수 방삼복은 종로의 공원 건너편 응달에 앉아서, 구두 징을 박으면서, 해방의 날을 맞이하였다.

→ 작품에서 시대적 배경이 해방 직후의 우리나라 사회라는 것이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그러나 삼복은 감격한 줄도 기쁜 줄도 모르겠었다. 지나가는 행인이, 서로 모르던 사람끼리면서 덤쑥 서로 껴안고 기뻐하고 눈물을 흘리고 하는 것이, 삼복은 속을 모르겠고 차라리 쑥스러 보일 따름 이었다. 몰려 닫는 군중이 오히려 성가시고, 만세 소리가 귀가 아파 이맛살이 지푸려질 지경이었다.

- 채만식, < 미스터 방 >

 

나라가 해방된 기쁜 날 자신의 이익에만 정신이 팔려 조국 독립의 기쁨을 느끼지 못하는 방삼복의 이기적인 모습이 드러남을 알 수 있다.

 

소재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기 위해서 사용되는 글의 재료

소설을 구성하는데 밑바탕이 되는 요소

 

배경과 소재의 기능

배경과 소재는 주제 형성에 기여하고, 인물의 행동에 신빙성을 높여주며, 주인공의 의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인물의 행동이나 사건의 전개에 기본적인 제약 조건이 된다.

배경과 소재는 인물의 심리상태나 사건의 전개를 암시하기도 하고, 사건이나 장면의 현장감을 유발하기도 하며, 상징적인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