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적갈등이란?
한 인물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상반되거나 분열된 심리가 원인이 되는 갈등
→ 인물이 겪는 '고민, 불안, 망설임, 고뇌, 분노'등도 내적갈등에 포함된다.
+) 내적갈등은 양자택일만 해당하는것이 아니다.
'짬뽕이냐, 짜장면이냐'와 같은 고민만 내적갈등으로 알고있으면 안된다.
인물의 불편한 내면 상태를 나타내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내적갈등을 이해해야 문제를 풀 수 있다.
ex)
나는 피로와 공복 때문에 무너져 들어가는 몸뚱이를 끌고 그 회탁의 거리 속으로 섞여 들어가지 않는 수도 없다 생각하였다.
나서서 나는 또 문득 생각하여 보았다. 이 발길이 지금 어디로 향아여 가는 것인가를 ······ 그때 내 눈앞에는 아내의 모가지가 벼락처럼 내려 떨어졌다.
→ '발길이 ~ 것인가를'에서 고민하고 있는 인물의 내면 심리가 드러나 있다.
아스피린과 아달린. 우리들은 서로 오해하고 있느니라. 설마 아내가 아스피린 대신에 아달린의 정량을 나에게 먹여왔을까?
→ 아내의 행동에 대해 의구심을 품고 불안해하는 내면 심리가 드러나있다.
- 이상, < 날개 >
이 작품은 '의식의 흐름 기법'이 사용된 작품이다.
인물의 내면을 아무런 제한이나 제재 없이 흐르는 대로 자연스럽게 서술하는 방법으로 1인칭 주인공 시점에서 나타나며, 앞뒤 맥락이 없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렵고 난해한 경우가 많다.
외적갈등이란?
인물과 인물을 둘러싼 외부적인 요소와의 상반된 입장과 태도가 원인이 되는 갈등이다.
외적갈등이 작품속에서 나타나는 양상
(1) 인물과 인물간의 갈등
주동 인물과 반동 인물 사이의 대립과 충돌로 인해 생기는 갈등이다.
ex)
"이놈의 노장, 눈을 떠!" 하는 카랑카랑한 목소리가 객실에까지 크게 들려왔다.
무슨일인가 해서 내가 급히 주지실로 가 보았더니, 그 전날 새로 온 젊은 객승이 주지 노장과 마주 앉아 서로 고함을 치고 있었다.
노장님은 화가 잔뜩 나 어쩔 바를 몰랐다.
→ 젊은 객승 = 반동 인물, 노장 = 주동 인물
- 법정, < 서 있는 사람들 >
(2) 인물과 운명 간의 갈등
인물이 가혹한 운명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겪게 되는 갈등이다.
→ 대부분 인물이 운명에 패하거나 순응하는 방식으로 결말이 구성된다.
ex)
아버지를 찾아 강원도 쪽으로 가 볼 생각도 없다. 집에서 장가들어 살림을 할 생각도 없다, 하는 아들에게 그러나, 옥화는 이제 전과 같이 고지식한 미련을 두는 것도 아니었다. / "그럼 어쩔라냐? 너 졸 대로 해라." / "········"
→ 옥화는 아들의 역마살을 막아 보려 했지만, 결국 운명을 거스르지 못하고 포기함을 알 수 있다.
- 김동리, < 역마 >
(3) 인물과 사회 간의 갈등
인물이 자신이 속한 사회의 제도, 현실 등과 충돌하여 생기는 갈등이다.
ex)
'이놈이 본래 평범한 놈이 아니니, 또 천생임을 한탄하여 만일 분에 넘치는 마음을 먹으면, 대대로 나라에 충성하고 은혜에 보답하였던 일이 쓸 데 없어지고 큰 화가 우리 가문에 미칠 것이로다.
→ 홍길동이 비범한 능력을 지녔지만, 비천한 출신 때문에 사회적 제약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미리 저를 없애어 가문에 닥칠 화를 덜고자 하나 차마 인정에 못할 일이로구나.'
- 허균, < 홍길동전 >
+) 갈등 양상의 파악
인물간의 관계를 도식화하여 지문을 읽으면, 보다 쉽게 갈등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소설에는 많은 인물이 등장하고, 관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그냥 눈으로 읽기만 하면 파악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갈등의 기능
갈등은 새로운 사건을 전개시키고, 인물의 성격을 강화한다.
또, 갈등이 발생하고 해결되는 과정을 통해 주제를 분명히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 새로운 사건 암시
'암시'를 통해서도 새로운 사건이 전개된다.
주로 음향이나 특정 소재를 통한 복선으로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
+) 갈등의 해결방식
1. 대립하던 두 대상의 화해
2. 반동인물의 패배
3. 권선징악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곡과 시나리오(시나리오의 특징) (0) | 2022.04.04 |
---|---|
희곡과 시나리오(희곡의 특징) (0) | 2022.04.02 |
사건과 갈등(액자식 구성 / 병렬 · 병치, 교차) (0) | 2022.03.31 |
사건과 갈등(순행적 구성과 역순행적 구성) (0) | 2022.03.30 |
인물, 배경과 소재(배경과 소재) (0) | 2022.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