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희곡과 시나리오(희곡의 특징)

KIKI_BI0 2022. 4. 2. 14:18
SMALL

희곡?

공연을 목적으로 하는 연극의 대본을 말한다.

 

대사란?

무대 위에서 등장인물끼리 서로 주고받는 대화나 등장인물의 혼잣말을 말한다.

대사의 종류 개념 기능
대화 두 명 이상의 등장인물이 서로 주고 받는 말 → 사건 진행
→ 인물의 성격 제시
독백 한 사람이 혼자 하는 말 → 자기반성 / 성찰
방백 무대 위의 다른 인물들은 듣지 못하는 것으로 약속된 말 →인물의 속마음 제시

+) 대사의 기능

→ 사건의 진행

→ 인물의 성격 제시

→ 사건의 분위기 형성

 

지시문이란?

무대 장치나 인물의 동작, 표정, 심리 상태를 상황에 맞제 지시하는 부분

 

+) 무대 장치

희곡은 무대 상연을 전제로 한 문학이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 '등장인물 수의 제약' 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무대 장치, 조명, 음향 등을 사용하는데, 이에 대해 묻는 문제가 많이 출제된다.

 

ex)

아우 : 벽을 지켜요?

측량 기사 : (아우의 손에 총을 쥐어 주며) 지금은 외상으로 드릴 테니, 돈은 나중에 땅으로 주세요.

→ 동작 지시문이 나타난다.

조수들 : (가방에서 총탄을 꺼내 놓으며) 여기 총알이 있어요.

→ 동작 지시문이 나타난다.

측량 기사 : 당신의 안전을 위해서 아낌없이 쓰세요!

 

측량기사와 조수들, 웃으며 퇴장하다. 벽의 오른쪽에서 형이 전망대 위로 올라간다. 탐조등이 켜지면서 강렬한 불빛이 벽 너머를 비춘다.

→ 무대 지시문이 나타난다.

- 이강백, < 들판에서 >

 

해설이란?

주로 희곡의 맨 처음에 '등장인물, 장소, 배경' 등을 제시하는 부분이다.

 

+) 해설과 지시문

해설은 지시문과 차이가 있다. 해설은 막이 오르기 전의 전반적인 설명에 해당하는 내용이고, 지시문은 막이 오른 후의 무대 장치나 인물의 행동, 표정에 해당하는 것으로 구분하여 이해하면 된다.

 

해설자와 극 중 인물

극 중 인물이 해설자로 등장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일종의 '낯설게 하기'기법으로 현실과 극 중 상황을 분리하여, 관객들이 비판적인 거리를 유지하게 한다. 해설자는 관객들을 극 중 상황으로 자연스럽게 인도하는 매개자 역할을 하지만, 동시에 관객들이 극 중 상황에 몰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유발하기도 한다.

 

ex)

해설자, 촌장이 되어 등장. 검은 옷차림. 이해심이 많아 보이는 얼굴과 정중한 태도. 낮고 부드러운 음성으로 말한다.

→ 1인 2역. 해설자가 극 중 인물인 '촌장'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촌장 : 수고하시는군요, 파수꾼님.

나 : 아, 촌장님. 여긴 왠일이십니까?

- 이강백, < 파수꾼 >

 

이 작품은 일반적인 희곡과는 달리 해설자가 극에 등장해 작품 내용을 설명하고, 관객들이 인물을 대신하는 등 실험적인 성격을 보여 준다. 제시된 예문도 해설자가 옷만 갈아입고 '촌장'의 역할로 등장하는 장면이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