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1

열대 저기압

KIKI_BI0 2022. 4. 4. 12:46
SMALL

열대저기압(태풍)이란?

열대지역에서 발생하는 저기압으로, 발생지역에 따라 이름이 나뉜다.

보통은 인도양에서 발생하면 '사이클론', 대한민국 근처에서 발생하면 '태풍', 미국쪽에서 발생하면 '허리케인'이라고 부른다.

 

· 열대저기압의 에너지원

 

 

→ 저위도 열대해상에서 열과 수증기가 상승한다.

 

 

 

→ 열과 수증기가 상승하면서 공기덩어리의 기온이 하강한다.

→ 기온이 하강하면서 수증기가 물로 응결된다.

→ 응결과정에서 나온 숨은열(잠열)로 인해 상승하고 있는 공기덩어리가 더욱 더 상승하게 된다.

 

 

 

 

대류권 계면까지 상승하게 되면서 적운형 구름을 생성한다.

 

 

 

· 열대저기압의 일생

(1) 위도 5˚ ~ 25˚(저위도) 열대해상에서 열대저기압이 발생한다.

(2) 발생한 열대저기압이 고위도로 이동하면서 기온이 하강한다.

(3) 기온의 하강으로, 열공급이 중단된다.

(4) 계속 고위도쪽으로 상승하다가 육지에 상륙하게 되고, 육지 상륙으로 인해 수증기의 공급이 중단된다.

(5) 육지 지표면과의 마찰로 인해 소멸한다.

 

+) 적도에서는 열대저기압(태풍)이 발생하지 않는다.

→ 전향력이 0이기 때문이다.

+) 남미 서안에서도 열대저기압(태풍)이 발생하지 않는다.

→ 남미 서안에서는 용승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 열대 저기압(태풍)의 이동 : 포물선 궤도로 북상

  위험 반원 안전 반원
위치 오른쪽 왼쪽
풍속 / 피해  
풍향 변화 시계 방향 시계 반대 방향

· 태풍의 눈

→ 태풍의 중심부로, 태풍이 상승 기류가 강해 대류권 계면까지 상승했다가 그 이상으로는 상승할 수 없어 하강하게 되는데, 그 때문에 태풍의 중심부인 태풍의 눈에는 약간의 하강기류가 존재하게된다.

 

 

열대 저기압 강좌보기

 

LIST

'지구과학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수의 성질  (0) 2022.04.06
우리나라의 주요 악기상  (0) 2022.04.05
온대 저기압  (0) 2022.04.02
기단과 전선  (0) 2022.04.01
고기압과 저기압  (0) 2022.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