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1

기단과 전선

KIKI_BI0 2022. 4. 1. 12:34
SMALL

기단?

성질이 균일한 큰 공기덩어리

 

기단의 종류

(1) 시베리아 기단 : 한랭건조, 겨울

(2) 오호츠크해 기단 : 한랭다습, 초여름

(3) 양쯔강 기단 : 온난건조, 봄 · 가을

(4) 북태평양 기단 : 고온다습, 여름

(5) 적도기단 : 고온다습, 태풍

 

→ 기단들이 각 계절에 지배적인 역할을 할 때, 기단은 고기압이라고도 할 수 있다.

ex) 겨울에 시베리아 기단 = 시베리아 고기압, 여름에 북태평양 기단 = 북태평양 고기압

→ 기단의 변질 : 기단이 발원지로부터 이동하면 성질이 다른 지면이나 수면을 만나 원래의 성질이 변하게 된다.

 

전선

(1) 한랭전선과 온난전선

→ 찬공기가 따뜻한 공기보다 무겁다.

- 한랭 전선

- 형성 조건 :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 밑으로 파고들때 형성

- 기울기 : 급하다

- 강수 : 전선 뒤 적운형구름, 좁은영역 소나기

- 전선 통과 후 변화 : 기온 하강

- 속도 : 빠르다

 

 

- 온난 전선

- 형성 조건 : 따뜻한 공기가 위로 타고 올라 갈때 형성

- 기울기 : 완만하다

- 강수 : 전선 앞 층운형 구름, 넓은 영역 이슬비

- 전선 통과 후 변화 : 기온 상승

- 속도 : 느리다

 

 

(2) 폐색 전선

한랭전선이 온난전선을 따라잡으면서 형성

 

 

 

한랭전선과 온난전선 중 어느쪽이 더 차갑냐에 따라, 한랭형 폐색전선과 온난형 폐색전선으로 나뉜다.

 

(3) 정체 전선

두 기단의 세력이 비슷해 겹쳐지면서 한 곳에 오래 머무르는 전선

- 차가운 공기가 있는 쪽에 비가 내린다.

- 초여름 ~ 여름사이에 생성된다.

- 장마전선이라고도 한다.

- ex) 오호츠크해 + 북태평양 = 정체전선

 

 

기단과 전선 강좌

 

LIST

'지구과학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대 저기압  (0) 2022.04.04
온대 저기압  (0) 2022.04.02
고기압과 저기압  (0) 2022.03.31
지질시대의 환경과 생물  (0) 2022.03.30
지사학의 법칙과 지질 연대  (0) 2022.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