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내용 전개 방식(추론)

KIKI_BI0 2022. 4. 11. 13:19
SMALL

추론이란?

이미 알려진 정보를 바탕으로 숨겨진 의미나 정보를 이끌어내는것을 말한다.

→ 기본적으로 논리성을 바탕으로 한다.

 

+) 추론한 내용을 묻는 문제 유형

→ 윗글을 바탕으로 추론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윗글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와 글쓴이의 견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러한 문제의 정답을 찾으려면, 반드시 지문의 내용을 근거로 해야한다.

 

추론의 종류

① 귀납적 추론

개별적이고, 특수한 사실로부터 일반적인 사실을 추론하는 방법이다.

→ 귀납은 언제나 예외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ex)

우리는 수많은 까마귀를 관찰한 후에 우리가 관찰하지 않은 까마귀까지 포함하는 '모든 까마귀는 검다.'라는 새로운 지식을 얻게 되는 것이다.

→ '수많은 까마귀'는 개별적 사실, '모든 까마귀는 검다'는 일반적 사실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② 연역적 추론

일반적인 사실에서 개별적이고 특수한 사실을 추론하는 방법이다.

ex)

모든 생명체는 죽음을 맞이한다. 이 동물은 살아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동물은 결국 죽음을 맞이할 것이다.

→ '모든 생명은 죽음을 맞이한다.'는 일반적 사실, '따라서 이 동물은 결국 죽음을 맞이할 것이다.'는 개별적 사실에 해당한다.

 

③ 유추(유비)추론

낯선 주제 or 어려운 개념을 익숙한 것에 빗대어 설명하는 방식이다.

→ 설명하고자 하는 대상과 익숙한 대상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어야한다.

ex)

그리고 나의 형을 공경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남의 어른을 공경하는 것으로 나아가는 우비적 확장을 통해 '의'를 사회 일반의 행위 규범으로 정립하였다.

→ '유비적 확장' = 유추의 방식을 활용한 개념 확장에 해당한다.

→ '나의 형을 공경하는 것'과 '나의 어른을 공경하는 것'이 유사하다는 것을 바탕으로 '의'가 개인적 가치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규범이라는 주제를 전달하고 있다. '의'라는 개념의 범위를 확장할 때 두 대상의 공통점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유추적 확장에 해당하는 것이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