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론이란?
이미 알려진 정보를 바탕으로 숨겨진 의미나 정보를 이끌어내는것을 말한다.
→ 기본적으로 논리성을 바탕으로 한다.
+) 추론한 내용을 묻는 문제 유형
→ 윗글을 바탕으로 추론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윗글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와 글쓴이의 견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러한 문제의 정답을 찾으려면, 반드시 지문의 내용을 근거로 해야한다.
추론의 종류
① 귀납적 추론
개별적이고, 특수한 사실로부터 일반적인 사실을 추론하는 방법이다.
→ 귀납은 언제나 예외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ex)
우리는 수많은 까마귀를 관찰한 후에 우리가 관찰하지 않은 까마귀까지 포함하는 '모든 까마귀는 검다.'라는 새로운 지식을 얻게 되는 것이다.
→ '수많은 까마귀'는 개별적 사실, '모든 까마귀는 검다'는 일반적 사실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② 연역적 추론
일반적인 사실에서 개별적이고 특수한 사실을 추론하는 방법이다.
ex)
모든 생명체는 죽음을 맞이한다. 이 동물은 살아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동물은 결국 죽음을 맞이할 것이다.
→ '모든 생명은 죽음을 맞이한다.'는 일반적 사실, '따라서 이 동물은 결국 죽음을 맞이할 것이다.'는 개별적 사실에 해당한다.
③ 유추(유비)추론
낯선 주제 or 어려운 개념을 익숙한 것에 빗대어 설명하는 방식이다.
→ 설명하고자 하는 대상과 익숙한 대상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어야한다.
ex)
그리고 나의 형을 공경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남의 어른을 공경하는 것으로 나아가는 우비적 확장을 통해 '의'를 사회 일반의 행위 규범으로 정립하였다.
→ '유비적 확장' = 유추의 방식을 활용한 개념 확장에 해당한다.
→ '나의 형을 공경하는 것'과 '나의 어른을 공경하는 것'이 유사하다는 것을 바탕으로 '의'가 개인적 가치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규범이라는 주제를 전달하고 있다. '의'라는 개념의 범위를 확장할 때 두 대상의 공통점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유추적 확장에 해당하는 것이다.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하기 전략과 방식(여럿이서 말하기) (0) | 2022.04.21 |
---|---|
말하기 전략과 방식(혼자서 말하기) (0) | 2022.04.14 |
내용 전개 방식(다양한 내용 전개 방식) (0) | 2022.04.09 |
화제, 글(독서의 방법) (0) | 2022.04.06 |
화제, 글 (화제와 중심내용) (0) | 2022.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