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전체 글 140

우분투 Desktop과 Server 차이

Desktop용과 Server용의 가장 큰 차이는 GUI환경 유무이다. Desktop용은 GUI가 있지만, Server용은 GUI가 없다. 따라서 Server용은 텍스트로만 되어있는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입력하게 된다. 다른 차이는 패키지 차이이다. Server용은 가장 기본적인 패키지만을 포함해 필요한 패키지를 그때그때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는 반면, Desktop용은 사용할만한 패키지들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어 용량이 비교적 더 크다. Ubuntu Desktop 편리하지만 느림, 용량이 큼 Ubuntu Server 용량이 작고 빠르지만 GUI가 없어 불편함 1. pwd(print working directory) : 현재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경로를 출력해줌 2. ls(list) : 현재 위치한 디..

카테고리 없음 2024.01.09

크롬 개발자 도구

1. 실행하기 F12 -> 개발자 도구 실행 +) - Mac Cmd + Opt + I - Window Ctrl + Shift + I - Mac Cmd + Opt + C - Window Ctrl + Shift + C - Mac Cmd + Opt + J - Window Ctrl + Shift + J 2. 언어 변경하기 -> 개발자 도구(F12)열고 톱니바퀴 모양 클릭 -> 환경설정이 열림 -> 언어 부분에서 변경하기 -> 새로고침 3. 눈금자 표시하기 -> 개발자 도구 열기 -> 단축키(Ctrl + Shift + P)로 명령어 실행창 열기 -> 눈금자 검색 -> 설정하기 -> 눈금자 생김 4. 요소 탭 사용하기 -> 개발자 도구 열기 -> 요소 태그 들어가기 -> 마우스 커서 모양의 요소 선택 버튼 사용하기..

카테고리 없음 2024.01.09

北서 개발된 맥OS 전용 해킹도구 잇단 등장

맥 OS의 인기가 증가하며 북한 해커들이 이에 특화된 백도어를 집중적으로 개발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고 함 -> 여기서 백도어(backdoor)는 해킹 기법으로, 일반적인 인증과 암호화를 우회(bypassing)해 원격 접속 및 암호화된 텍스트에 대한 권한을 취득하는 등 은밀히 악성 코드를 실행하는 해킹 방법임 사이버 보안기업 프루프 포인트 보안연구원은 북한에서 만든 것으로 추측되는 새로운 맥OS용 백도어를 확인했다고 밝힘 그렉 렌스위치 연구원은 최근 발견한 스펙트럴블러(SpectralBlur)라는 백도어에서 북한 해커들이 주로 사용했던 악성코드가 상당히 중복되는것을 확인했다고 함 -> 스펙트럴블러(SpectralBlur)는 맥 OS 사용자들을 노리는 해킹 도구 해당 백도어는 북한의 지능형 지속 위협(..

뉴스 2024.01.08

구글 검색 엔진 고급 기능 정리

구글 고급 검색 명령어는 검색 결과를 수정해서 보여주고, 추가적인 매개 변수(ex.웹 사이트 도메인)를 필요로 하기도 하는 특수 명령어임 일반적으로 검색 범위를 좁히고 더욱 깊이 있는 검색을 하기 위해 사용됨 define: 기본적으로 구글에 내장된 사전의 기능을 하는 명령어 / 검색어에 대한 정의가 표시됨 site: 해당 웹사이트에서 색인된 결과만 보여줌 cache: 해당 명령어 뒤에 URL을추가해 검색하면 구글에 가장 최근 색인된 해당 웹 페이지의 캐시 버전을 보여줌 intitle: 페이지 제목(타이틀 태그)에 특정 검색어가 포함된 페이지를 찾도록 명령하는 기능 allintitle: intitle: 명령어와 같은 기능이지만, 여러 개의 검색어를 모두 포함된 결과만 표시 inurl: 페이지 URL에 특정..

카테고리 없음 2024.01.08

컴퓨터 시스템의 개요

01. 컴퓨터 구조에 대한 기초 (1) 컴퓨터의 정의 -> 프로그램이 지시하는 절차에 따라 자동적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장치 -> EDPS는 전자적인 성질을 이용해 주어진 데이터를 자동으로 신속, 정확하게 처리해 유용한 정보를 생성, 출력하는 기계 장치 *EDPS(Electronic Data Processing&System) : 손바닥 크기의 작은 소형 탁상용 계산기와 혼돈을 야기해 생긴 용어 / 전자적 자료 처리 장치 -> 입력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처리하므로 ADPS라고도 함 *ADPS(Automatic Data Processing&System) : 자동 자료 처리 장치 (2) 컴퓨터의 특징 - 정확성 ->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된 결과는 정확함 - 신속성 -> 컴퓨터에 의한 ..

리눅스 소개

1.1 유닉스와 리눅스 리눅스?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을 지원하는 유닉스(UNIX)계열의 운영체제 독립적 커널을 이용하여 개발한 운영체제 독점되거나 배타되지 않는 자유소프트웨어 - 유닉스의 등장과 발전 Multics 운영체제보다 우수하면서 향상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운영체제의 개발을 시작하면서 개발됨 AT&T는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대학에 UNIX V6를 소스코드와 함께 무상으로 제공하여 여러버전의 UNIX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함 최초의 UNIX 변형 == BSD(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버전임 BSD는 자유롭고 공개된 방식으로 발전해나갔지만, AT&T는 UNIX의 상용화를 모색하게 됨 그래서 AT&T 직계의 유닉스는 V7부터 System V에 이르게 됨 유..

UNIX 2024.01.08

oracle cloud(파일 삭제, nano로 파일생성, index.php 내용 확인)

1. 파일 삭제 (/etc/nginx/conf.d/default.conf) root로 접속 # rm -i /etc/nginx/conf.d/default.conf -> -i : 삭제할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확인하고 삭제 여부를 묻는다. -> -f : 삭제할 파일 또는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삭제한다. -> -r : 디렉토리를 삭제할 때 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도 함께 삭제한다. 2. nano 편집기로 삭제한 파일 다시 생성하고 내용 채우기 # nano /etc/nginx/conf.d/default.conf 후 nano 편집기로 들어가지면, server { listen 80 default_server; // 80번 포트에서 들어오는 HTTP 요청을 받음. 기본 서버로 설정 server_name local..

Linux/Oracle Cloud 2024.01.07

Ubuntu 22.04 LTS에서 웹서버(Nginx, php-frm, MariaDB)구성하기(1)

termius에서 만들어둔 서버를 열고, 1. 언어가 어떻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쉘 기본 언어값 확인) #djfhejghr 같이 의미없는 문자 입력후 를 클릭하여 뜨는 메시지를 확인한다. 이렇게 영어 메시지가 출력되면 언어가 잘 설정되어있는 것! 1-1. 언어가 만약 영어로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 nano /etc/default/locale 파일 오픈 후, LANG = C.UTF-8 or LANG = "en_US.UTF-8"을 추가 후 저장 -> 다시 로그인하여 저장된 것을 확인 2. 현재 운영체제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 최신 패치 적용하기 # sudo apt update -> 패키지 목록을 업데이터 -> 새로운 패키지, 버전, 보안 업데이트 등을 확인 가능 # sudo apt upgr..

Linux/Oracle Cloud 2024.01.06

1.1 알고리즘 개요

1. 알고리즘(Algorithm)의 정의 -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잘 정의된 동작들의 유한집합 2. 자료구조 - 알고리즘의 객체 - 구조화되고 조직화된 자료의 저장/추출/관리 방법 - 추상데이터타입 (Abstracted Data Type) - 배열, 스택, 큐, 트리 etc... 3. 알고리즘의 선택 - 하나의 문제에 대해 여러 알고리즘이 존재 - 절대적인 최상의 알고리즘은 없음 - 주어진 문제와 환경을 먼저 숙지하기 - 속도와 자원(resource)의 상관관계 -> 속도가 빠를수록 자원을 더 많이 소모한다.(속도와 자원은 비례관계) ** 자원 : 메모리, 하드디스크 같은 것을 의미 - 단순한 알고리즘이 best -> 지나친 속도 결벽증은 금물(오류 발생 확률 상승) -> 알고리즘의 사용 빈도에 ..

자료구조,C++ 2024.01.06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