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시의 전개(공간의 이동, 선경후정, 수미상관)

KIKI_BI0 2022. 3. 16. 13:48
SMALL

공간의 이동이란?

화자가 공간을 이동하면서 시상을 전개하는 방법이다.

-> 공간이나 장면의 변화에 따라 시상에 전개되며, 주로 기행 가사에서 화자의 여정을 서술 할 때 많이 사용된다.

+) 기행 가사란?

=> 가사 중에서 여행의 체험이나 견문, 감상 등을 기록한 가사로, 정철의 <관동별곡>, 김인겸의 <일동장유가>, 홍순학의 <연행가> 등이 있다.

공간의 이동이 사용된 예시를 보자.

 

연츄문(延秋門) 드리드라 경회(慶膾)남문(南門) 바라보며,

하직(下直)고 믈너나니 옥졀(玉節)이 알픠 셧다.

평구역(平丘驛) 말을 가라 흑슈(黑水)로 도라드니,

셤강(蟾江)은 어듸메오 티악(稚岳)이 여긔로다.

쇼양강(昭陽江) 나린 믈이 어드러로 든단 말고.

고신(孤臣)거국(去國)에 백발(白髮)이 하도 할샤.

동쥬ㅣ(東州)밤 계오 새와 븍관뎡(北寬亭)의 올나하니

삼각산(三角山) 뎨일봉(第一峰)이 하마면 뵈리로다.

궁왕(弓王) 대궐(大闕)터희 오쟉(烏鵲)이 지지괴니

천고(千古)흥망(興亡)을 아는다 몰으는다.

                                                            - 정철, < 관동별곡 >

 

-> 관동 지역의 관찰사로 임명받고 관내의 아름다운 경치를 유람한 기행 가사로, 연추문(경복궁 서문)에서 평구역(양주)를 거쳐, 흑수(여주), 섬강(원주), 소양강, 동주, 궁왕 대궐 터 까지로 이어지는 부임 여정이 공간의 이동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선경후정에 대해 알아보자.

선경후정은, 먼저 풍경이나 사물을 묘사하여 보여 준 다음, 그 후에 대상이나 경치를 통해 얻게 된 화자의 정서를 제시하는 시상 전개 방식이다.

선경후정의 방식이 쓰인 시는 아래와 같다.

 

春雨暗西池    (춘우암서지)   봄비 보슬보슬 연못에 내리고 

輕寒襲羅幕    (경한습라막)   서늘한 기운 장막 속에 스며들 때

愁倚小屛風    (수의소병풍)   시름에 겨워 병풍에 기대니

墻頭杏花落    (장두횅화락)   담장의 살구꽃 후두둑 떨어지네

                                                                         - 허난설헌, <춘우(春雨)>

 

-> 봄 비 내리는 가운데 떨어지는 살구꽃을 보며 화자의 외로운 처지를 표현한 작품으로, 1행과 2행에서 비가 내려 쓸쓸한 규방을 묘사하고, 3행과 4행에서 병풍에 기대어 떨어지는 살구꽃을 보며 외로운 처지를 한탄하는 선경후정의 방식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미상관에 대해 알아보자.

 

수미상관은, 시의 처음 부분과 마지막 부분에 형태적, 의미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을 배치하는 방법으로, 수미쌍관, 수미상응 이라고도 한다.

-> 완전히 동일하지 않아도 어느정도의 유사성을 가지면, 수미상관이라고 하는데, 어순이 달라도 통사구조가 반복되는 경우가 이러한 경우에 해당한다.

-> 수미상관은 동일한 시구가 반복되기 때문에 의미가 강조되고, 처음 부분이 마지막에 한번 더 제시 됨으로써 형태적 안정감을 느끼게 하며, 운율감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수미상관을 사용한 시를 보고 마치도록 하자.

 

우리 집도 아니고 / 일가 집도 아닌 집 / 고향은 더욱 아닌 곳에서

아버지의 침상없는 최후 최후의 밤은 / 풀벌레 소리 가득 차 있었다 (중략)

 

우리는 머리맡에 엎디어 / 있는 대로의 울음을 다아 울었고

아버지의 침상 없는 최후 최후의 밤은 / 풀벌레 소리 가득 차 있었다

                                                                            - 이용악, < 풀벌레 소리 가득 차 있었다 >

 

-> 1연과 마지막 연이 완전히 같지는 않고 약간의 변형이 있지만, 시상이 서로 대응되고 있으므로 수미상관이 쓰였음을 볼 수 있다.

 

여기까지 공간의 이동, 선경후정, 수미상관이었고,

다음에는 시선의 이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