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란?
시어에 의해 마음속에 떠오르는 구체적이고 선명한 영상이나 감각적인 인상을 말한다.
이미지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을까?
이미지는 크게, 감각적 이미지, 색채 이미지, 계절감을 나타내는 이미지로 나뉜다. 하나씩 알아보자.
(1) 감각적 이미지
-> 시각적 이미지 : 형태의 묘사나 색채어 등을 사용하여 눈으로 보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미지로, 빛깔이나 모양, 움직임 등이 모두 이에 해당한다.
-> 청각적 이미지 : 구체적인 소리를 표현한 의성어와 같이 귀로 듣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미지이다.
-> 후각적 이미지 : 냄새나 향기와 같이, 코로 냄새 맡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미지 이다.
-> 미각적 이미지 : 맛을 나타내는 시어를 통해 혀로 맛을 보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미지 이다.
-> 촉각적 이미지 : 촉감과 같이 피부에 닿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미지이다.
이러한 이미지가 활용된 시를 보자.
꽃가루와 같이 부드러운 고양이의 털에 / 고운 봄의 향기(香氣)가 어리우도다. //
금방울과 같이 호동그란 고양이의 눈에 / 미친 봄의 불길이 흐르도다.//
고요히 다물은 고양이의 입술에 / 포근한 봄의 졸음이 떠돌아라. //
날카롭게 쭉 뻗은 고양이의 수염에 / 푸른 봄의 생기(生氣)가 뛰놀아라.
- 이장희, < 봄은 고양이로다 >
고양이의 모습을 통해, 봄의 분위기를 표현한 작품으로 시작, 후각, 촉각, 청각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감각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 공감각적 이미지 : 둘 이상의 감각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이미지로, 하나의 감각적 대상을 다른 종류의 감각으로 전이하여 표현하는 방식이다.
헷갈릴 수 있으니, 예시를 보고 가자.
삼월달 바다가 꽃이 피지 않아서 서글픈 / 나비 허리에 새파란 초생달이 시리다.
- 김기림, < 바다와 나비 >
'새파란 초생달이 시리다'는 시각인 '새파란'과 촉각인 '시리다'가 결합한 공감각적 표현(시각의 촉각화)가 쓰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복합감각 이미지 : 하나의 대상을 표현하기 위해 두 가지 이상의 감각을 동시에 나란히 늘어놓은 이미지로, 감각의 전이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공감각적 이미지와 차이가 있다.
ex) 술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놀
=> 술익는 - 후각, 타는 저녁놀 - 시각
(2) 색채 이미지
색깔을 나타내는 색채어를 사용하거나, 색채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시어의 속성이나 분위기로 인해 색채와 관련한 이미지를 환기 하는 것을 말한다.
색채 이미지가 사용된 예시를 보자.
샤갈의 마을에는 삼월에 눈이 온다. / 봄을 바라고 섰는 사나이의 관자놀이에
새로 돋은 정맥이 / 바르르 떤다. (중략)
다시 올리브빛으로 물이 들고 / 밤에 아낙들은
그해의 제일 아름다운 불을 / 아궁이에 지핀다.
- 김춘수, <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
'눈'은 봄을 알리고 맑고 순수한 생명력을 일깨워 주는 소재로 흰색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 '정맥'은 푸른색 이미지로 봄의 생명감을 드러내고, '올리브빛'의 초록색 이미지는 소생하는 봄의 생명력을, 붉은색 이미지의 '불'은 새로운 생명이 다시 피어나는 새 봄의 아름다움을 드러냄으로써 이 시에는 색채 이미지가 사용되었다는것을 알 수 있다.
(3) 계절감을 나타내는 이미지
시어가 지닌 이미지를 통해 계절감을 나타내는 것이다.
계절감이 나타나는 시를 보고 마치도록 하자.
이화우(梨花雨) 흩뿌릴 제 울며 잡고 이별한 임
추풍낙엽(秋風落葉)에 저도 나를 생각하는가
천 리(千里)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는구나
- 계랑
'이화우'를 통해 봄을, '추풍낙엽'을 통해 가을을 나타냄으로써 이 시에는 계절감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쓰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에는 이미지에 관해 알아봤고, 다음 글에서는 이미지의 방향성과 운동성에 대해 알아보자.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0) | 2022.03.18 |
---|---|
이미지, 주제(이미지의 방향성과 운동성) (0) | 2022.03.17 |
시의 전개(시선의 이동) (0) | 2022.03.16 |
시의 전개(공간의 이동, 선경후정, 수미상관) (0) | 2022.03.16 |
시의 전개(시상, 기승전결, 시간의 흐름) (0) | 2022.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