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이미지, 주제(이미지의 방향성과 운동성)

KIKI_BI0 2022. 3. 17. 15:04
SMALL

이미지의 방향성이란?

이미지의 방향성은 상승하강으로 나뉘는데, 하나씩 알아보자.

-> 상승 이미지 : 위로 오르는 듯한 느낌을 불러일으키는 이미지로, 주로 긍정적 이미지로 사용된다.

-> 하강 이미지 : 아래로 향하는 듯한 느낌을 불러일으키는 이미지로, 주로 부정적 이미지로 사용된다.

 

상승과 하강의 이미지가 사용된 예시를 보자.

 

모란이 피기까지는 /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 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 뻗쳐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네다

                                                                         - 김영랑, < 모란이 피기까지는 >

 

'모란이 뚝뚝 떨어져~'와 '떨어져 누운 꽃 마저~', '무너졌느니', '모란이 지고 말면' 에서 하강 이미지가 쓰였고, '뻗쳐오르던 내 보람'에서 상승 이미지가 쓰임으로써 봄을 기대하는 마음과 봄을 보내는 서러움을 모란을 통해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미지의 방향성이란?

이미지의 방향성은 동적 이미지정적 이미지로 나뉜다.

-> 동적 이미지 : 시적 대상의 힘찬 움직임을 통해 활발한 느낌을 불러일으키는 이미지이다.

-> 정적 이미지 : 움직임이 느껴지지 않는 풍경이나 고요한 심리 상태를 통해 조용한 느낌을 불러일으키는 이미지이다.

 

두 이미지가 쓰인 예시를 보고 마치도록 하자.

 

꽃가루와 같이 부드러운 고양이의 털에 / 고운 봄의 향기가 어리우도다. // (정적 이미지)

금방울과 같이 호동그란 고양이의 눈에 / 미친 봄의 불길이 흐르도다. (동적 이미지)

고요히 다물은 고양이의 입술에 / 포근한 봄 졸음이 떠돌아라. // (정적 이미지)

날카롭게 쭉 뻗은 고양이의 수염에 / 푸른 봄의 생기(生氣)가 뛰놀아라. (동적 이미지)

                                                                                         - 이장희, < 봄은 고양이로다 >

 

'고양이의 털'을 통해 봄의 향기를, '고양이의 입술'을 통해 봄의 졸음을 정적 이미지로 드러내고, '고양이의 눈'을 통해 봄의 불길을, '고양이의 수염'을 통해 봄의 생기를 동적 이미지로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늘은 이미지의 방향성과 운동성에 대해 알아봤다.

다음에는 시의 주제에 대해 알아보자.

LIST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미지, 주제(시의 주제)  (0) 2022.03.18
고사성어  (0) 2022.03.18
이미지, 주제(이미지)  (0) 2022.03.17
시의 전개(시선의 이동)  (0) 2022.03.16
시의 전개(공간의 이동, 선경후정, 수미상관)  (0) 2022.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