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전체 글 140

내용 전개 방식(다양한 내용 전개 방식)

· 내용 전개 방식 글의 화제나 내용을 가장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방식이다. +) 내용 전개 방식을 묻는 문제의 유형 → 윗글의 내용 전개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윗글의 서술상 특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윗글의 설명방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내용 전개 방식 종류 → 정의 : 대상의 개념을 설명하는 방법으로, 주로 '~은(는) ~이다 / 라고한다.' 또는 '~을(를) ~라고 한다.' 등의 표지를 통해 제시된다. ex) 중력은 물체의 질량에 중력 가속도를 곱한 값으로 물체가 낙하하는 동안 일정하다. → 중력의 정의가 나와있음을 알 수 있다. → 예시 :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하는것을 말하고, '예를 들어' 등이 주로 표지가 된다. ex) 또 하나의 단안 단서인 '결 기울기'..

국어 2022.04.09

용승과 침강

· 용승과 침강 * 영양염류 : 바다 생물이 생활하기 위해 필요한 성분 → 용승 - 깊은곳의 해수가 위로 상승하는 현상으로, 용승이 발생하는 곳은 수온 ↓ - 용승이 일어나는 곳에는 심해에서 전달 된 영양염류가 풍부해져 바다생물 ↑ → 침강 - 표층의 해수가 심해로 하강하는 현상 - 표층에는 산소가 많아 심해층으로 산소가 전달됨 +) 에크만 수송 지구의 자전효과로 인해 에크만 층 내에서 해수의 평균 이동 방향이 바람의 오른쪽 직각 방향으로 나타나는 현상 * 에크만 층 : 바람의 영향을 받는 층 · 용승과 침강의 종류 ① 연안 용승과 연안 침강 * 연안 : 육지와 바다가 만나는 곳 ② 기압변화에 따른 용승과 침강 → 저기압 - 바람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불어, 에크만 수송으로 인한 해수는 밖으로 퍼지게 됨..

지구과학1 2022.04.09

해수의 심층순환

· 심층 순환의 발생 → 수온과 염분으로 인한 해수의 밀도차에 의해 발생한다. ① 수온이 낮고 염분이 높아 밀도가 큰 극지방의 해수가, 아래로 침강한다. ② 아래로 침강해 쌓인 해수가 저위도로 이동한다. ③ 저위도로 이동한 해수가, 적도부근에서 용승한다. ④ 용승으로 쌓인 해수가 다시 고위도로 이동한다. · 대서양의 심층 순환 → 북대서양 심층수 60˚N 부근의 그린란드의 주변 해양에서 약 80˚S 쪽으로 침강하는 해수 → 남극 저층수 80˚S 부근의 남극대륙 웨델해에서 침강하는 해수로, 셋 중에 가장 밀도가 크다. → 남극 중층수 60˚S에서 침강하는 중층수 → 심층 순환의 역할 ① 열에너지 이동 전체 해수를 순환시켜 표층순환을 통해 저위도의 열을 고위도로 운반하여 위도별 에너지 불균형을 해소한다. ②..

지구과학1 2022.04.08

대기대순환과 해수의 표층순환

· 대기 대순환 대기 대순환은 전 지구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열 전달 운동의 일환으로, 세 개의 연직순환과, 세 개의 항상풍으로 이뤄져있다. → 위도 0˚(적도) ~ 30˚N = 해들리 순환(열적 순환 / 직접 순환) , 무역풍 → 위도 30˚N ~ 60˚N = 페렐 순환(역학적 순환 / 간접 순환), 편서풍 → 위도 60˚N ~ 90˚N = 극순환(열적 순환 / 직접 순환), 극동풍 · 표층 순환 위도 0˚(적도) ~ 60˚N = 아열대 순환 → 아열대 순환의 서쪽에서는 서안경계류인 난류가 흐르고, 동쪽에서는 동안 경계류인 한류가 흐른다. → 그 밑으로는 편서풍에 의한 남극 순환 해류가 흐른다. 북태평양 환류 : 쿠로시오 해류(난류), 북태평양 해류(난류), 캘리포니아 해류(한류), 북적도 해류(난류) ..

지구과학1 2022.04.07

화제, 글(독서의 방법)

(1) 사실적 독해 글에 표면적으로 드러난 정보를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파악하는 분위기 (2) 추론적 독해 글에 드러난 내용을 바탕으로 생략된 정보나 글쓴이의 의도 or 목적 등을 파악하며 읽기 (3) 비판적 독해 논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글의 내용이나 자료, 관점등에 나타난 글쓴이의 생각을 분석 or 평가하며 읽기 (4) 창의적 독해 글의 내용을 종합하여 자신만의 관점을 더해 새롭게 의미를 구성하며 읽기 · 각 단계의 독서에 필요한 방법 (1) 사실적 독해의 방법 → 어휘나 문장의 의미 이해를 바탕으로 문단의 내용과 글의 주제를 파악하기 → 글의 전개방식과 문단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글의 전체 흐름을 이해하기 (2) 추론적 독해의 방법 → 담화표지나 문맥등을 활용하여 생략된 정보 추론 → 시대, 사회, 문..

국어 2022.04.06

해수의 성질

· 해수의 온도 → 표층온도 ① 위도 ↓ = 태양복사E ↑ = 수온 ↑ ② 큰 바다의 서안 = 난류(저 → 고), 수온 ↑ / 큰 바다의 동안 = 한류(고 → 저), 수온 ↓ ③ 비열 : 해양 > 대륙 → 수온 연교차 : 대륙 연안 > 대양 중앙 → 연직 온도 - 혼합층 → 바람의 세기와 비례한다. - 수온 약층 → 안정한 층 → 혼합층과 심해층 교환 차단 - 심해층 - 고위도 : 수온변화가 거의 없고, 일정하게 수온이 낮다. → 수온약층이 존재하지 않는다. - 혼합층이 가장 두꺼운 위도 = 중위도 - 수온약층 깊이가 가장 깊은 위도 = 중위도 → 수온약층이 시작되는 깊이를 묻는 것 - 수온약층이 가장 뚜렷한 위도 = 저위도 · 해수의 염분 ① 염류 : 해수에 녹아있는 물질 ex) NaCl(염화 나트륨)..

지구과학1 2022.04.06

화제, 글 (화제와 중심내용)

화제란? 글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대상 → 모든 글은 중심이 되는 소재가 있다. → 글을 읽을 때는, 화제가 무엇인지 찾고, 화제에 대해 어떤 이야기를 하는지 파악해야한다. +) 화제 = 주제? 화제와 주제는 엄연히 다른 개념이다. 화제는 글의 중심이 되는 '대상'을 말하고, 주제는 화제에 대해 글쓴이가 말하고 있는 '중심 내용'을 뜻한다. 예를 들어, 사과의 장점에 대해 이야기하는 글이 있다면, 화제는 '사과'가 될 것이고, 주제는 '사과의 장점'이 될 것이다. 화제를 파악하는 방법 (1) 작은 따옴표(' ')에 집중하기 → 작은 따옴표는 문장에서 중요한 부분을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작은따옴표로 강조된 말이 반복적으로 사용될 경우 화제일 가능성이 높다. ex) '콘크리트'는 건축 재료로 ..

국어 2022.04.05

우리나라의 주요 악기상

먼저 알고 갈 것 - 비, 눈이 내리려면 구름이 있어야한다. - 구름이 생기려면 상승기류가 있어야한다. - 얇은 구름은 층운형, 두꺼운 구름은 적운형(적란운)이다. (1) 호우 → 강한 상승기류, 적란운 → 국지성 호우(집중호우) = 단시간에 많은 양의 비가 한꺼번에 내리는 현상 → 홍수 ·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2) 폭설 → 시베리아 기단이 황해를 지나 우리나라 쪽으로 이동하는데, 황해로 인해 시베리아 기단의 아래쪽 기온이 상승하면서 열과 수증기가 위로 상승하여 구름을 형성하고, 비가 내리게 되는데,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력이 강한 겨울철이기 때문에, 비가 눈으로 바뀌어 내리게 된다. (3) 뇌우 → 강한 상승기류, 적란운 → 천둥, 번개, 소나기, 우박 → 낙뢰(벼락) → 뇌우의 일생 (4) 우..

지구과학1 2022.04.05

희곡과 시나리오(시나리오의 특징)

시나리오란? 영화촬영을 목적으로 한 각본으로, 영화 장면의 순서, 배우의 대사와 동작 등을 표현한다. → 시퀀스(sequence), 장면(scene)을 단위로 한다. → 화면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촬영을 어떻게 할지 고려해야 하고, 시각적 장치뿐만 아니라 청각적 음향 효과를 적절히 활용할 수도 있다. +) 시퀀스와 장면의 개념 시퀀스(sequence)는 하나의 이야기가 시작되고 끝나는 독립적인 구성 단위를 말하고, 장면(scene)은 같은 장소에서 같은 시간에 벌어지는 사건을 나눈 단위를 말한다. +) 음향 효과의 기능 → 장면의 분위기를 형성한다. → 사건의 흐름에 집중하게 한다. → 현장감 및 생동감을 불어넣는다. · 시나리오 용어 (1) S# (Scene Number) : 장면 번호 (2) NAR (..

국어 2022.04.04

열대 저기압

열대저기압(태풍)이란? 열대지역에서 발생하는 저기압으로, 발생지역에 따라 이름이 나뉜다. 보통은 인도양에서 발생하면 '사이클론', 대한민국 근처에서 발생하면 '태풍', 미국쪽에서 발생하면 '허리케인'이라고 부른다. · 열대저기압의 에너지원 → 저위도 열대해상에서 열과 수증기가 상승한다. → 열과 수증기가 상승하면서 공기덩어리의 기온이 하강한다. → 기온이 하강하면서 수증기가 물로 응결된다. → 응결과정에서 나온 숨은열(잠열)로 인해 상승하고 있는 공기덩어리가 더욱 더 상승하게 된다. → 대류권 계면까지 상승하게 되면서 적운형 구름을 생성한다. · 열대저기압의 일생 (1) 위도 5˚ ~ 25˚(저위도) 열대해상에서 열대저기압이 발생한다. (2) 발생한 열대저기압이 고위도로 이동하면서 기온이 하강한다. (3..

지구과학1 2022.04.04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