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전체 글 140

서술 방식(묘사)

묘사란? 서술자가 배경, 인물, 사건을 단순히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그림을 그리듯 구체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 장점 : 독자에게 대상을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다. -> 단점 : 지나친 묘사는 사건 전개를 지연시킨다. 묘사의 종류 (1) 배경묘사 소설 속에서 사건의 구체적 시간과 공간이나 자연적 배경을 묘사하는 것이다. 길은 지금 긴 산허리에 걸려 있다. 밤중을 지난 무렵인지, 죽은 듯이 고요한 속에서 짐승 같은 달의 숨소리가 손에 잡힐 듯이 들리며, 콩포기와 옥수수 잎새가 한층 달에 푸르게 젖었다. -> 비유적 표현을 통해 산길의 시간 및 공간적 배경이 묘사된다. 달밤의 생생한 분위기가 전달됨을 알 수 있다. 산허리는 왼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북한 달빛..

국어 2022.03.23

서술방식 (대화와 서술)

대화란? 소설 속의 등장인물들이 서로 주고받는 말을 말한다. -> 서술자는 대화를 통해 사건을 구체적으로 전개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제공한다. -> 등장인물의 심리나 성격, 태도를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대화가 쓰인 소설의 예를 보자. "그래, 이번 길에 고향 사람은 하나도 못 만났습니까?" -> '나'의 말을 통해 '그'가 고향에 갔다 오는 길이라는 정보를 알 수 있다. "하나 만났구마. 단지 하나." / "친척 되는 분이던가요?" "아니구마, 한 이웃에 살던 사람이구마." / 하고 그의 얼굴은 더욱 침울했다. "여간 반갑지 않으셨지어요." -> '나'는 '그'가 말을 계속 이어나갈 수 있도록 반응하며 '그'에 대한 우호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반갑다마다, 죽은 사람을 만난 것 같더마. 더구나 그 사람..

국어 2022.03.23

플룸구조론

플룸구조론? 판 내부의 화산활동을 설명하기 위해 등장한 이론을 말한다.(판 구조론은 판의 내부 활동까지 설명할 수 없기 때문) 플룸이란? 맨틀 전체에서 하강하거나 상승하는 원기둥 모양의 물질과 에너지의 흐름이다. 플룸은 지진파의 속도에 따라, 차가운 플룸과 뜨거운 플룸으로 나뉜다. → 차가운 플룸 - 주위보다 온도가 낮기때문에 지진파 속도가 빠르고, 밀도가 큰 물질이 아래로 하강하는 플룸이다. - 수렴형 경계에서 섭입된 판의 물질이 상부맨틀과 하부맨틀의 경계 부근에 쌓여있다가, 가라앉아서 형성된다. → 뜨거운 플룸 - 주위보다 온도가 높기때문에 지진파 속도가 느리고, 밀도가 작은 물질이 위로 상승하는 플룸이다. - 차가운 플룸이 맨틀과 외핵의 경계에 도달하게 되면서, 그 영향으로 일부 맨틀 물질이 상승하..

지구과학1 2022.03.23

판 구조론(판의 경계의 특징)

판의 경계에는 발산형 경계, 수렴형 경계, 보존형 경계 세 가지가 있는데, 각 경계에 따른 판 구조론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1) 발산형 경계 ->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서 일어난다. -> 판과 판 사이가 벌어지면서 새로운 판이 생성되는 경계이다. -> 판과 판을 잡아당기는 장력에 의해 정단층이 생성된다. * 정단층 : 판과 판이 잡아당겨지면서, 상반이 아래로 내려가는 단층이다. 발산형 경계에는 [해양판-해양판], [대륙판-대륙판] 두 종류가 있다. → [해양판-해양판] 경계 - 해량과 열곡이 생성된다. - 천발지진과 화산활동이 나타난다. - 동태평양 해령과 대서양 중앙 해령이 여기에 해당된다. → [대륙판-대륙판] 경계 - 열곡대가 생성된다 - 천발지진과 화산활동이 나타난다. - 동아프리카 열곡대가 ..

지구과학1 2022.03.22

서술자와 시점(시점)

시점이란? 서술자가 이야기 속에서 인물이나 사건을 바라보는 입장을 말한다. +) 시점의 혼용? 작가는 사건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하나의 작품에서 시점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1인칭이 3인칭으로, 전지적 서술자가 관찰적 서술자로 바뀔 수도 있다. 시점은 어떻게 구분이 될까? 시점은 총 4가지로 구분이 되는데, 하나씩 알아보자. (1) 1인칭 주인공 시점 -> '나'가 작품 속 주인공으로 등장하여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는 시점이다. (2) 1인칭 관찰자 시점 -> 작품 속에 등장하는 '나'가 주인공을 관찰하여 주인공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점이다. (3) 작가 관찰자 시점 -> 서술자가 외부 관찰자 위치에서 이야기를 서술하는 시점이다. (4) 전지적 작가 시점 -> 작품에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작가가..

국어 2022.03.21

판 이동의 원동력

판(암석권)은 지각 -> 맨틀 -> 외핵 -> 내핵 으로 구성되어있다. 약 5 ~ 35km 까지 지각, 35 ~ 2900km까지 맨틀, 그리고 2900 ~ 5100km, 5100 ~ 6500km까지 각각 외핵과 내핵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외핵은 액체로 구성되어있고, 내핵은 고체로 구성되어있다. 판에는 대륙판과 해양판이 있는데, 보통 해양판보다 대륙판이 두께가 더 두껍다. 하지만, 밀도는 해양판이 대륙판이 더 크다.(대륙판이 밀도가 더 크다면 우리가 사는 대륙은 해양판 밑으로 가라앉을 것이다.) 해양판이 대륙판보다 밀도가 더 큰 이유는 무엇일까? 그건 지각들을 구성하는 암석이 다르기 때문인데, 대륙판은 주로 화강암질로 구성되고, 해양판은 주로 현무암질로 구성되어있다. 암기할때 '대화해현'으로 외우면 ..

지구과학1 2022.03.21

서술자와 시점(서술자)

서술자란? 소설 속에서 독자에게 이야기를 전하는 사람을 말한다. -> 소설의 내용을 독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작가가 만든 인물이다. -> 서사 내용과 독자 사이에서 이야기를 서술하고 이끌어나가는 역할을 한다. -> 서술자의 관점에 따라 이야기의 서술 방식과 효과가 달라진다. 그러므로 소설을 읽을 때 서술자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먼저 확인해야 한다. * 작가 = 서술자? -> 서술자와 작가를 동일한 존재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 소설에서 서술자는 작가가 생각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이야기꾼일 뿐이다. 서술자와 등장인물의 관계? 서술자와 등장인물이 일치하는지, 일치하지 않는지에 따라 1인칭 서술자와 3인칭 서술자로 구분할 수 있다. -> 서술자 = 등장인물 => 1인칭 서술자 -> 서술자 ≠ 등장인물 ..

국어 2022.03.19

판 구조론의 정립

판 구조론이란? 지구에서 일어나는 지각변동을 설명하는 이론을 말한다. 판 구조론이 등장하기 전까지 여러가지 이론이 있었는데, 순서대로 살펴보면, 대륙이동설(베게너) -> 맨틀대류설(홈스) -> 해양저 확장설 / 해저 확장설(헤스와 디츠) -> 판 구조론의 순서이다. 하나씩 알아보자. 1. 대륙이동설 (베게너) 대륙이동설은 독일의 기상학자 베게너가 과거 대륙이 하나로 뭉쳐진 형태인 초대륙 판게아가 존재했고, 판게아가 분리되고 이동해서 현재의 수륙분포를 이루게 되었다고 주장한 이론이다. 베게너가 제시한 대륙이동설의 증거는 총 4가지가 있다. (1) 남아메리카 동쪽 해안선과 아프리카 서쪽 해안선의 일치 (2) 지질구조의 연속성 (북아메리카의 애팔레치아 산맥과 유럽의 칼레도니아 산맥의 일치) (3) 화석 분포의..

지구과학1 2022.03.19

이미지, 주제(시의 주제)

시의 주제란? 시인이 시를 통해서 독자에게 전달하고자하는 주된 의미나 중심생각을 말한다. 시에 빈출되는 주제를 알아보자. 시에 자주 등장하는 주제 1. 대상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 -> 서정갈래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주제이다. -> 사랑하는 사람과의 만남과 이별, 이별로 인한 그리움을 노래한 작품이 많다. -> 죽음에서 비롯된 상실감과 그리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작품도 존재한다. -> 애상적 정서를 중심으로 대상에 대한 애틋함과 안타까움의 정서가 드러난다. 사랑과 그리움의 주제가 사용된 예시를 보자. '무쇠로 황소를 만들어다가 쇠로 된 나무가 있는 산에서 그 쇠소가 쇠풀을 먹으면'이라는 불가능한 상황을 설정하고 이러한 상황이 일어나야 이별하겠다고 함으로써 이별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국어 2022.03.18

태양계 정리

태양계 -> 우리은하의 나선팔 부분에 위치해 있다. -> 태양을 중심으로 8개의 행성이 존재한다. -> 태양은 태양계 질량의 99.85%를 차지한다. 태양계의 행성들 - 수성 -> 태양으로부터 5800만km 떨어져있다. -> 지름은 약 4880km(지구의 0.4배) -> 표면중력은 지구의 0.38배 -> 공전주기가 87.969일로 1년이 약 88일, 자전주기가 58.646일로 하루는 176일이다. -> 낮에는 온도가 400℃, 밤에는 영하 170℃로 일교차가 크다. -> 지구에서 관측하기가 쉽지가 않다. - 금성 -> 태양으로부터 1억800만km 떨어져있다. -> 96.5%가 이산화탄소, 3.5%가 질소분자 -> 지름이 약 12104km이다. -> 질량은 지구의 0.815배 -> 건조하다 -> 표면중력 ..

지구과학1 2022.03.18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