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전체 글 140

다양한 표현방법(고전 시가의 표현법)

이전시간에는 비교와 대조, 대비에 관해 알아봤다. 이번시간에는, 고전 시가에서 쓰이는 표현법에 관해 알아보자. 고전 시가의 표현법에는 관습적인 상징어 사용과 한자성어, 한자어, 고사의 사용 및 인용이 있다. 제일 먼저 관습적인 상징어의 사용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 관습적인 상징어의 사용에는 (1) 긍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시어 와 (2)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시어 두 가지로 나뉜다. 긍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시어에는 무엇이 있을까? (1) 긍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시어 -> 매화, 국화 : 추운 겨울에 피는 꽃이라는 특성을 가졌다. 매화와 국화는 지조와 절개를 의미한다. -> 소나무, 대나무 : 곧고 항상 푸르다는 특성이 있다. 소나무와 대나무는 충정, 지조, 절개, 선비정신을 의미한다. -> 하늘과 ..

국어 2022.03.14

다양한 표현방법(비교와 대조, 대비)

이전에는 운율과 수사법에 관해 알아봤다. 이번에는 비교와 대조, 대비에 관해 알아보자. 먼저 비교란 무엇일까? 비교란, 두 가지 이상의 사물의 크기나 성질, 내용, 모습등의 정도를 견주어 시적 대상을 선명하게 표현하는 방법이다. -> 일정한 기준에 따른 두 사물의 차이점에 주목하는 대조와는 달리, 공통점에 관한 수사법이다. 이렇게 말하면 헷갈릴 수 있으니, 예시를 보자. 아! 강낭콩꽃 보다는 더 푸른 / 그 물결위에 / 양귀비꽃 보다도 더 붉은 / 그 마음 흘러라. - 변영로, 이 시에서 푸르다는 공통된 속성을 이용해 '물결'을 '강낭콩꽃'과 비교하고, 마찬가지로 붉다는 공통된 속성을 이용해 '마음'을 '양귀비꽃'과 비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식으로 공통된 속성을 이용해 두 가지의 사..

국어 2022.03.12

메타인지의 힘

위 사진은 김경일 교수가 메타인지의 힘을 보여주기 위해 아이들에게 실험을 할 때 썼던 도구들의 사진이다. 김경일 교수는 창의적 올림피아드에서 수상 경력이 여럿인 아이들에게, 재료를 고르고 어떠한 것을 만들라고 시켰고, 평범한 초등학교의 한 반에는 자신이 무엇을 만들고 싶은지 이해하고 얘기 하도록 한 다음, 재료를 고르도록 시켰다. 과연 이 두 그룹중에서 창의, 혁신, 개성, 독창성이 더 높았던 그룹은 어디일까? 사람들은 보통 창의력 부분에서 수상경력이 많은 아이들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실제로는 수상경력이 없는 지극히 평범한 학생의 그룹이 더 높았다. 그렇다면, 수상 경력이 많은 아이들을 제치고, 평범한 학생들이 창의, 혁신, 개성과 독창성이 더 높게 나왔던 이유는 무엇일까? 해답은 위 첫 문단에서 알 수있..

교육 2022.03.12

다양한 표현 방법(운율과 수사법)

이번에는 운율과 수사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먼저, 운율이란 무엇일까? 운율은 반복이나 규칙성을 통해 시에서 느껴지는 일정한 리듬감을 말한다. 운율은 내재율과 외형률로 나뉘는데, 내재율은 일정한 규칙없이 각각의 시에 따라 자유롭게 생기는 운율로, 자유시나 산문시와 같이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는 주관적이고, 정서적인 운율이다. 반면, 외형률은 정형시에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일정한 형식을 지녀서 겉으로 드러나는 규칙적인 운율을 말한다. 외형률은, 음보율과 음수율 두 가지로 나뉘는데, 음보율과 음수율에 대해 알아보자. 음보율은, 일정한 음보가 규칙적으로 반복되면서 생기는 운율이다. +) 음보에 대해 잘 모른다면 이걸 읽어보자 음보는 운율을 이루는 소리의 덩어리로, 숨을 크게 한 번 들이 쉴 때, 몇번 띄어 읽..

국어 2022.03.11

다양한 표현 방법(비유와 상징)

비유란 무엇일까? 비유란, 표현하고자하는 대상을 직접 설명하지 않고, 그와 유사한 다른 대상에게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이다. 비유에는 여러가지 방식이 있는데, 비유법의 종류와 각각의 의미를 알아보자. 1. 직유법 -> 직유법이란, '~처럼, ~같이, ~듯이'와 같은 연결어를 사용하여 원관념과 보조관념을 직접적으로 연결해 표현하는 방식이다. 2. 은유법 -> 은유법은, 원관념과 보조관념을 연결어로 사용했던 직유법과는 달리, 'A는 B이다.'의 형식으로 마치 두 대상이 동일한 것처럼 표현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A의 B' 형식이나, 원관념없이 보조관념으로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음을 알아두자. +) 직유법과 은유법의 예시를 보기전에,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의미를 모른다면 알아두자. 원관념은, 시인이 본래 표현하고..

국어 2022.03.11

빛과 원자

원자설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원자에 대한 사실이 어디서 시작해서 어떻게 끝났는지 알아보자. 1803년 존 돌턴(1766 ~ 1844)은 원자설을 제기한다. 모든 물질은 더 이상 쪼개질 수 없는 원자로 되어있다는 이론이다. 이 문장 하나로 세상의 모든 것이 설명되는 것 같았지만, 원자에 대해 계속해서 새로운 사실들이 나오게 된다. 독일의 물리학자,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1845~1923)은 금속이 원자에 부딫힐 때 나오는 짧은 파장이 손을 투시 할 수 있다는 것(= 엑스선)을 발견했고, 폴란드 출신의 프랑스 과학자, 퀴리 부인(1867 ~ 1934)은 원자에서 엄청난 양의 에너지가 지속적으로 나오는 것(라듐)을 발견했다. 빌헬름과 퀴리부인은 각각 엑스선과 라듐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상을 수상하게된다. 그..

교육 2022.03.11

화자, 정서와 태도(대상과의 거리,어조)

지난번에는 화자의 정서 표현방법에 대해 알아봤다. 이번에는 마지막으로, 대상과의 거리와 어조에 대해 알아보자. 네번째, 대상과의 거리와 어조 먼저, 대상과의 거리, '시적 거리감'을 알아보자. 시적 거리감이란, 시 속에서 화자와 대상 혹은, 화자와 상황간의 거리를 뜻한다. 시적 거리감이 가까운 경우는, 화자가 대상에 대해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는 경우인데, 화자와 시적 거리감이 가까운 경우의 표현에는, 예찬, 사랑과 애정, 감정이입, 가까워지고자 하는 마음이 있다. 표현들의 의미를 말하자면, -> 예찬 : 화자가 시적 대상의 훌륭함 혹은,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예로 자연예찬이 있다. -> 사랑과 애정 : 화자가 대상에게 사랑을 느끼거나, 애정 어린 시선으로 대상을 바라보는 태도이다. -> ..

국어 2022.03.10

화자, 정서와 태도(정서의 표현방법)

세번째, 정서의 표현방법 앞 글에서는 화자의 정서와 태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봤다. 이번 글에서는 화자가 시 속에서 정서를 표현하는 법을 알아보자. 화자가 시 속에서 정서를 표현하는 방법은 4가지가 있다. 첫째, 직접적으로 표현 둘째, 간접적으로 표현 셋째, 감정이입 넷째, 객관적 상관물 첫번째로, 정서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화자가 느꼈던 기분이나 감정을 시 속에 대놓고 적어놓는 것이다. 직접적 표현의 예를 보자. 긴 한숨으로 흘리는 눈물 헛되이 생각만 많다. -> 이 구절에서 화자는 '긴 한숨', '흘리는 눈물', '생각만 많다' 라는 구절을 통해 화자의 근심과 슬픔을 '직접적'으로 드러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번째는, 간접적 표현인데, 정서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화자가 상황에..

국어 2022.03.10

화자, 정서와 태도(화자의 정서와 태도)

두번째, 화자의 정서와 태도 화자의 정서란? 화자의 정서는 시 속에서 화자가 다양한 상황에 놓일 때, 화자가 느끼는 '기쁘다, 슬프다, 화난다, 외롭다' 등의 감정을 말한다. 그렇다면, 화자의 태도란 무엇일까? 화자의 태도란, 시 속에서 화자가 놓은 다양한 상황이나 정서에 대응하는 자세를 말한다. 쉽게말하면, 화자의 정서는 감정이고, 화자의 태도는 자세라고만 알아두면 된다. 화자의 정서와 태도는 화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데, 대게 4가지가 대표적이다. 하나씩 알아보자. 1. 긍정적 or 만족스러운 상황에서 화자의 정서 안빈낙도 : 소박한 것에 만족함 ex) 단표누항에 헛된 생각 아니하네 -> 단표누항은 다른 반찬 필요없이 한그릇의 밥과 한그릇의 물, 즉, 소박하고 청빈한 삶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

국어 2022.03.1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