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번째, 화자와 중심대상 시에서 화자란? 화자는, 시 속에서 말하는 사람을 뜻하고, 주로 시에서 3가지 방식으로 나타난다. 1. 표면적 화자 -> 표면적 화자는 시에서 화자가 직접적으로 나타나는 화자로, 보통은 '나', '우리'와 같이 화자를 직접적으로 명시해주는 단어가 있다. 2. 이면적 화자 -> 이면적 화자는 시에서 직접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시의 제목이나 시의 내용으로 유추가 가능한 화자를 말한다. 서정주의 을 예로 들어보면, 향단아 그넷줄을 밀어라. 머언 바다로 배를 내어 밀듯이, 향단아. 이 시에서 향단이에게 말을 거는듯한 내용과, 이라는 제목을 보면, 화자가 춘향이라는것을 유추할 수 있다. 이것이 이면적 화자이다. 마지막으로, 화자가 시에 직접적으로 나타나지도, 유추할 수 도 없는 경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