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국어 46

서술자와 시점(서술자)

서술자란? 소설 속에서 독자에게 이야기를 전하는 사람을 말한다. -> 소설의 내용을 독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작가가 만든 인물이다. -> 서사 내용과 독자 사이에서 이야기를 서술하고 이끌어나가는 역할을 한다. -> 서술자의 관점에 따라 이야기의 서술 방식과 효과가 달라진다. 그러므로 소설을 읽을 때 서술자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먼저 확인해야 한다. * 작가 = 서술자? -> 서술자와 작가를 동일한 존재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 소설에서 서술자는 작가가 생각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이야기꾼일 뿐이다. 서술자와 등장인물의 관계? 서술자와 등장인물이 일치하는지, 일치하지 않는지에 따라 1인칭 서술자와 3인칭 서술자로 구분할 수 있다. -> 서술자 = 등장인물 => 1인칭 서술자 -> 서술자 ≠ 등장인물 ..

국어 2022.03.19

이미지, 주제(시의 주제)

시의 주제란? 시인이 시를 통해서 독자에게 전달하고자하는 주된 의미나 중심생각을 말한다. 시에 빈출되는 주제를 알아보자. 시에 자주 등장하는 주제 1. 대상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 -> 서정갈래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주제이다. -> 사랑하는 사람과의 만남과 이별, 이별로 인한 그리움을 노래한 작품이 많다. -> 죽음에서 비롯된 상실감과 그리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작품도 존재한다. -> 애상적 정서를 중심으로 대상에 대한 애틋함과 안타까움의 정서가 드러난다. 사랑과 그리움의 주제가 사용된 예시를 보자. '무쇠로 황소를 만들어다가 쇠로 된 나무가 있는 산에서 그 쇠소가 쇠풀을 먹으면'이라는 불가능한 상황을 설정하고 이러한 상황이 일어나야 이별하겠다고 함으로써 이별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국어 2022.03.18

고사성어

- 파경(破鏡): 깨진 거울 / 부부의 이별 or 이혼 -> 수나라의 군대가 진나라를 침략했을때, 진나라의 장군 서덕언이 자신의 거울을 반을 갈라 한쪽을 주며 정월 대보름에 시장에 팔라고 말하고, 살아서 오겠다며 떠났다. 결국 진나라는 멸망하고, 서덕언의 아내 낙창공주는 수나라 대장군의 첩이 되었는데, 정월 대보름에 서덕언의 말을 잊지않고, 하인을 시켜 거울을 팔았고, 서덕언이 발견해 편지와 함께 돌려보내자, 그것을 본 수나라 대장군이 감동해 둘을 고향으로 돌려보내주었다는 이야기에서 파생된 언어이다.

국어 2022.03.18

이미지, 주제(이미지의 방향성과 운동성)

이미지의 방향성이란? 이미지의 방향성은 상승과 하강으로 나뉘는데, 하나씩 알아보자. -> 상승 이미지 : 위로 오르는 듯한 느낌을 불러일으키는 이미지로, 주로 긍정적 이미지로 사용된다. -> 하강 이미지 : 아래로 향하는 듯한 느낌을 불러일으키는 이미지로, 주로 부정적 이미지로 사용된다. 상승과 하강의 이미지가 사용된 예시를 보자. 모란이 피기까지는 /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 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 뻗쳐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네다 - 김영랑,..

국어 2022.03.17

이미지, 주제(이미지)

이미지란? 시어에 의해 마음속에 떠오르는 구체적이고 선명한 영상이나 감각적인 인상을 말한다. 이미지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을까? 이미지는 크게, 감각적 이미지, 색채 이미지, 계절감을 나타내는 이미지로 나뉜다. 하나씩 알아보자. (1) 감각적 이미지 -> 시각적 이미지 : 형태의 묘사나 색채어 등을 사용하여 눈으로 보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미지로, 빛깔이나 모양, 움직임 등이 모두 이에 해당한다. -> 청각적 이미지 : 구체적인 소리를 표현한 의성어와 같이 귀로 듣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미지이다. -> 후각적 이미지 : 냄새나 향기와 같이, 코로 냄새 맡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미지 이다. -> 미각적 이미지 : 맛을 나타내는 시어를 통해 혀로 맛을 보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미지 이다. -> 촉각적 이미지 ..

국어 2022.03.17

시의 전개(시선의 이동)

이번엔 시의 전개 마지막, 시선의 이동에 대해 알아보자. 화자의 시선이란? 화자의 시선은 화자가 시에서 대상을 바라보는 것으로, 대상에 고정되어 있기도 하고, 이동하기도 한다. +) 초점이란? -> 초점은 화자의 시선이 집중된 장면이나 공간 자체를 의미한다. 예를 한번 살펴보자. 차디찬 아침인데 / 묘향산행 승합자동차는 텅 하니 비어서 나이 어린 계집아이 하나가 오른다 / 옛말속같이 진진초록 새 저고리를 입고 손잔등이 밭고랑처럼 몹시도 터졌다. (중략) / 계집아이는 운다 느끼며 운다 - 백석, -> 화자는 묘향산행 승합자동차 안에서 자동차를 타며 우는 나이 어린 계집아이에게 시선을 고정하고 집중해 바라보고 있다. 이러한 것이, 화자의 시선이자 초점인 것이다. 그렇다면, 시선 이동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국어 2022.03.16

시의 전개(공간의 이동, 선경후정, 수미상관)

공간의 이동이란? 화자가 공간을 이동하면서 시상을 전개하는 방법이다. -> 공간이나 장면의 변화에 따라 시상에 전개되며, 주로 기행 가사에서 화자의 여정을 서술 할 때 많이 사용된다. +) 기행 가사란? => 가사 중에서 여행의 체험이나 견문, 감상 등을 기록한 가사로, 정철의 , 김인겸의 , 홍순학의 등이 있다. 공간의 이동이 사용된 예시를 보자. 연츄문(延秋門) 드리드라 경회(慶膾)남문(南門) 바라보며, 하직(下直)고 믈너나니 옥졀(玉節)이 알픠 셧다. 평구역(平丘驛) 말을 가라 흑슈(黑水)로 도라드니, 셤강(蟾江)은 어듸메오 티악(稚岳)이 여긔로다. 쇼양강(昭陽江) 나린 믈이 어드러로 든단 말고. 고신(孤臣)거국(去國)에 백발(白髮)이 하도 할샤. 동쥬ㅣ(東州)밤 계오 새와 븍관뎡(北寬亭)의 올나하..

국어 2022.03.16

시의 전개(시상, 기승전결, 시간의 흐름)

시상은 무엇일까? 시상은, 시에 담긴 시인의 생각이나 감정을 말한다. 시상의 전개과정? -> 시상의 전개과정은 시인이 자신의 생각을 일정한 질서에 따라 한 편의 시로 조직해 나가는 과정을 말한다. 전개과정에는 어떤것들이 있을까? - 유발 : 시상 유발의 매개체를 활용해 정서를 불러일으킨다. - 확산 : 시적대상을 확대시킨다. - 집약 : 화자의 정서를 집중시켜 주제의식을 드러낸다. - 전환 : 정서나 분위기가 급격하게 바뀜으로써, 시에 따라 나타나기도 하고, 나타나지 않기도 한다. - 마무리 : 시상을 종료한다. 이러한 대표적인 과정은, '기승전결'과 '시간의 흐름'이 있다 기승전결 과정은, 시상 제기[기] -> 시상의 심화와 계승[승] -> 시상 전환[전] -> 중심생각 계시와 시상 마무리[결]의 흐름..

국어 2022.03.15

다양한 표현방법(고전 시가의 표현법)

이전시간에는 비교와 대조, 대비에 관해 알아봤다. 이번시간에는, 고전 시가에서 쓰이는 표현법에 관해 알아보자. 고전 시가의 표현법에는 관습적인 상징어 사용과 한자성어, 한자어, 고사의 사용 및 인용이 있다. 제일 먼저 관습적인 상징어의 사용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 관습적인 상징어의 사용에는 (1) 긍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시어 와 (2)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시어 두 가지로 나뉜다. 긍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시어에는 무엇이 있을까? (1) 긍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시어 -> 매화, 국화 : 추운 겨울에 피는 꽃이라는 특성을 가졌다. 매화와 국화는 지조와 절개를 의미한다. -> 소나무, 대나무 : 곧고 항상 푸르다는 특성이 있다. 소나무와 대나무는 충정, 지조, 절개, 선비정신을 의미한다. -> 하늘과 ..

국어 2022.03.14

다양한 표현방법(비교와 대조, 대비)

이전에는 운율과 수사법에 관해 알아봤다. 이번에는 비교와 대조, 대비에 관해 알아보자. 먼저 비교란 무엇일까? 비교란, 두 가지 이상의 사물의 크기나 성질, 내용, 모습등의 정도를 견주어 시적 대상을 선명하게 표현하는 방법이다. -> 일정한 기준에 따른 두 사물의 차이점에 주목하는 대조와는 달리, 공통점에 관한 수사법이다. 이렇게 말하면 헷갈릴 수 있으니, 예시를 보자. 아! 강낭콩꽃 보다는 더 푸른 / 그 물결위에 / 양귀비꽃 보다도 더 붉은 / 그 마음 흘러라. - 변영로, 이 시에서 푸르다는 공통된 속성을 이용해 '물결'을 '강낭콩꽃'과 비교하고, 마찬가지로 붉다는 공통된 속성을 이용해 '마음'을 '양귀비꽃'과 비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식으로 공통된 속성을 이용해 두 가지의 사..

국어 2022.03.12
LIST